휴일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규율 전반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7 17:07
본문
Download : 휴일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규율 전반 검토.hwp
3. 휴일의 부여방법
1) 주1회 이상 휴일의 부여
이때 1일의 산정 원칙은 오전0~오후12시까지 역일이나, 교대제작업 등 경우 2일간 걸쳐 계속 24시간 휴식 보장을 해도 적법하다고 본다.
Ⅱ. 휴일의 종류
1. 법정휴일
이는 의무적으로 부여해야 하는 휴일로 주휴일, 근로자의 날(공휴일은 법정휴일 아님) 등이 있으며 유급으로 부여하여야 한다.
2. 약정휴일
약정휴일은 노사당사자가 휴일로 정한 날을 의미하며 유무급은 단협, 취규 등으로 임의로 정한다.
Ⅲ. 주휴제 내용
1. 휴일부여대상자
1) 원칙
휴일부여 대상자의 제한은 원칙적으로 없으며, 따라서 정규-비정규 등 계약형태, 근로형태 불문하고 요건 충족시 부여하여야 한다.
2) 적용제외
① 초단시간 근로자
1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으로 현저히 짧은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적용되지 않는다.
Download : 휴일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규율 전반 검토.hwp( 35 )
설명
휴일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규율 전반 검토 , 휴일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규율 전반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휴일 근로기준법상 규율 전반 검토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휴일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규율 전반 검토



근로기준법상 휴일 제도
Ⅰ. 들어가며
1. 의의
휴일은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명령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날로 처음부터 근로제공의무 없는 날이다. 이는 근로자가 주중 근로로 인한 피로회복으로 건강유지, 여가 이용한 사회文化(culture) 적 생활 보장위해 마련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2. 법규정
관련하여 현행 근로기준법은 1주에 mean(평균) 1회이상 유급휴일 부여토록 하고 있으며, 소정근로일수 개근한 자에게 부여토록 하고 있다
3. 휴가와 구별
1) 공통: 사용자의 지휘명령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Ⅱ. 휴일의 종류
1. 법정휴일
이는 의무적으로 부여해야 하는 휴일로 주휴일, 근로자의 날(공휴일은 법정휴일 아님) 등이 있으며 유급으로 부여하여야 한다.
2) 차이
휴가는 본래 근로의무 있는 날이나 근로자의 청구, 특별 법정사유 충족 따라 근로의무 면제되는 날로 가산임금 규정은 적용되지 않는다.
2) 차이
휴가는 본래 근로의무 있는 날이나 근로자의 청구, 특별 법정사유 충족 따라 근로의무 면제되는 날로 가산임금 규정은 적용되지 않는다.
2. 약정휴일
약정휴일은...
근로기준법상 휴일 제도
Ⅰ. 들어가며
1. 의의
휴일은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명령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날로 처음부터 근로제공의무 없는 날이다.
2) 특정일 지정
단체…(투비컨티뉴드 )
휴일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규율 전반 검토
휴일,근로기준법상,규율,전반,검토,법학행정,레포트
다. 이는 근로자가 주중 근로로 인한 피로회복으로 건강유지, 여가 이용한 사회文化(culture) 적 생활 보장위해 마련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2. 법규정
관련하여 현행 근로기준법은 1주에 mean(평균) 1회이상 유급휴일 부여토록 하고 있으며, 소정근로일수 개근한 자에게 부여토록 하고 있다
3. 휴가와 구별
1) 공통: 사용자의 지휘명령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② 63조 근로자
농림수산업 등 일정사업 종사자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2. 휴일의 부여요건
1주간 소정근로일수 개근한자에 1주 mean(평균) 1회 이상 유급휴일 부여하며, 이때 소정근로일수란 사용자와 근로자가 합의로 근로하기로 정한 날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