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평가모형(Evert Vedung의 분류)-효율성, 경제성 평가모형, 전문가모형, 의사결정모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00:52
본문
Download : 정책평가모형(Evert Vedung의 분류)-효과성, 경제성 평가모형, 전문가모형, 의사결정모형.hwp
정책평가모형,Evert,Vedung,분류,효과성,경제성,평가모형,전문가모형,의사결정모형,경영경제,레포트
정책평가모형(Evert Vedung의 분류)-효과성, 경제성 평가모형, 전문가모형, 의사결정모형 , 정책평가모형(Evert Vedung의 분류)-효과성, 경제성 평가모형, 전문가모형, 의사결정모형경영경제레포트 , 정책평가모형 Evert Vedung 분류 효과성 경제성 평가모형 전문가모형 의사결정모형
레포트/경영경제
정책평가모형(Evert Vedung의 분류)-효과(效果)성, 경제성 평가모형, 전문가모형, 의사결정모형
목차
정책평가모형-Evert Vedung의 분류
Ⅰ. 효과(效果)성 평가모형
1. 目標(목표)달성 모형
2. 부수효과(效果) 모형
3. 目標(목표)배제 모형
4. 포괄적 모형
5. 고객지향 모형
6. 이해당사자 모형
Ⅱ. 경제성 평가모형
1. 생산성 모형
2. 능률성 모형
Ⅲ. 전문가 모형
Ⅳ. 의사결정 모형
출처
정책평가 모형-Evert Vedung의 분류
Vedung(1997)의 경우 평가모형을 정책 간여의 실제적인 결과에 초점을
맞춰 크게 효과(效果)성 모형, 경제성 모형, 전문가 모형, 의사결정 모형을 평가의
대표적 모형으로 분류한다(이윤식 외, 2006: 41-52).
효과(效果)성 모형(effectiveness model)은 여러 대안적인 정책 간여 활동의 결
과를 강조하며, 目標(목표) 달성 모형, 부수 효과(效果) 모형, 目標(목표) 배제 모형, 포괄...
정책평가모형(Evert Vedung의 분류)-효과(效果)성, 경제성 평가모형, 전문가모형, 의사결정모형
목차
* 정책평가모형-Evert Vedung의 분류
Ⅰ. 효과(效果)성 평가모형
1. 目標(목표)달성 모형
2. 부수효과(效果) 모형
3. 目標(목표)배제 모형
4. 포괄적 모형
5. 고객지향 모형
6. 이해당사자 모형
Ⅱ. 경제성 평가모형
1. 생산성 모형
2. 능률성 모형
Ⅲ. 전문가 모형
Ⅳ. 의사결정 모형
* 출처
* 정책평가 모형-Evert Vedung의 분류
Vedung(1997)의 경우 평가모형을 정책 간여의 실제적인 결과에 초점을
맞춰 크게 효과(效果)성 모형, 경제성 모형, 전문가 모형, 의사결정 모형을 평가의
대표적 모형으로 분류한다(이윤식 외, 2006: 41-52).
효과(效果)성 모형(effectiveness model)은 여러 대안적인 정책 간여 활동의 결
과를 강조하며, 目標(목표) 달성 모형, 부수 효과(效果) 모형, 目標(목표) 배제 모형, 포괄적 모
형, 고객 지향 모형, 관련자 모형으로 세분화하고 있따
경제성 모형(economy model)은 주로 비용에 관심을 두며, 생산성 모형
과 효율성 모형으로 세분화하고 있따
전문가 모형(expert model)은 구체적인 평가 대상이나 평가 절차가 아니
라 누가 평가를 수행하는가 하는 평가의 주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동
료집단의 검토를 중시한다.
I. 효과(效果)성 평가모형
(1) 目標(목표)달성 모형
目標(목표)달성 모형(goal achievement model)은 目標(목표) 달성에 초점을 둔 이
모형은 평가문제에 접근하는 가장 고전적인 방법으로, 目標(목표) 달성의 측정(測定) 과
influence(영향) 검토의 두 요소로 이루어진다. 전자는 성취된 결과가 정책의 目標(목표)와
얼마나 일치하는가 하는 것이고, 후자는 바로 그 정책에 의해 그런 결과가
도출되…(省略)
정책평가모형(Evert Vedung의 분류)-효율성, 경제성 평가모형, 전문가모형, 의사결정모형
순서
설명
정책평가모형(Evert Vedung의 분류)-효율성, 경제성 평가모형, 전문가모형, 의사결정모형
Download : 정책평가모형(Evert Vedung의 분류)-효과성, 경제성 평가모형, 전문가모형, 의사결정모형.hwp( 37 )
-%ED%9A%A8%EA%B3%BC%EC%84%B1,%20%EA%B2%BD%EC%A0%9C%EC%84%B1%20%ED%8F%89%EA%B0%80%EB%AA%A8%ED%98%95,%20%EC%A0%84%EB%AC%B8%EA%B0%80%EB%AA%A8%ED%98%95,%20%EC%9D%98%EC%82%AC%EA%B2%B0%EC%A0%95%EB%AA%A8%ED%98%95_hwp_01.gif)
-%ED%9A%A8%EA%B3%BC%EC%84%B1,%20%EA%B2%BD%EC%A0%9C%EC%84%B1%20%ED%8F%89%EA%B0%80%EB%AA%A8%ED%98%95,%20%EC%A0%84%EB%AC%B8%EA%B0%80%EB%AA%A8%ED%98%95,%20%EC%9D%98%EC%82%AC%EA%B2%B0%EC%A0%95%EB%AA%A8%ED%98%95_hwp_02.gif)
-%ED%9A%A8%EA%B3%BC%EC%84%B1,%20%EA%B2%BD%EC%A0%9C%EC%84%B1%20%ED%8F%89%EA%B0%80%EB%AA%A8%ED%98%95,%20%EC%A0%84%EB%AC%B8%EA%B0%80%EB%AA%A8%ED%98%95,%20%EC%9D%98%EC%82%AC%EA%B2%B0%EC%A0%95%EB%AA%A8%ED%98%95_hwp_03.gif)
-%ED%9A%A8%EA%B3%BC%EC%84%B1,%20%EA%B2%BD%EC%A0%9C%EC%84%B1%20%ED%8F%89%EA%B0%80%EB%AA%A8%ED%98%95,%20%EC%A0%84%EB%AC%B8%EA%B0%80%EB%AA%A8%ED%98%95,%20%EC%9D%98%EC%82%AC%EA%B2%B0%EC%A0%95%EB%AA%A8%ED%98%95_hwp_04.gif)
-%ED%9A%A8%EA%B3%BC%EC%84%B1,%20%EA%B2%BD%EC%A0%9C%EC%84%B1%20%ED%8F%89%EA%B0%80%EB%AA%A8%ED%98%95,%20%EC%A0%84%EB%AC%B8%EA%B0%80%EB%AA%A8%ED%98%95,%20%EC%9D%98%EC%82%AC%EA%B2%B0%EC%A0%95%EB%AA%A8%ED%98%95_hwp_05.gif)
-%ED%9A%A8%EA%B3%BC%EC%84%B1,%20%EA%B2%BD%EC%A0%9C%EC%84%B1%20%ED%8F%89%EA%B0%80%EB%AA%A8%ED%98%95,%20%EC%A0%84%EB%AC%B8%EA%B0%80%EB%AA%A8%ED%98%95,%20%EC%9D%98%EC%82%AC%EA%B2%B0%EC%A0%95%EB%AA%A8%ED%98%95_hwp_06.gif)
다.
의사결정 모형(decision-making model)은 앞으로 있을 의사결정을 평가
의 주요 구성 요소로 삼는 접근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