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계-도서관계의 협력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3:16본문
Download : 출판계-도서관계.hwp
2)한국의 출판산업이 IMF 이후로 침체일로를 걷고 있다는 현실속에서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여러 노력이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출판과 도서관의 유기적인 협력체제의 구축으로 불황의 늪을 탈출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의 출판계와 도서관계의 관계에 있어서 상대방에 대한 인식의 정도, 협력의 필요성 및 현재상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순서
5.한국의 출판계와 도서관계의 관계 improvement(개선) 대안
2.2.한국의 협력현재상황
1.서론
설명
5.4.학술출판의 진흥
4.2.미국
3.출판계와 도서관계의 협력을 저해하는 요인
3.2.<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에 대한 이견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도서관 활성화 공통유통서지DB 학술출판
다. 최근 출판통계를 보면 1998년 국내 출판규모는 금액으로는 3조 7,764억 원이며 발행 종수는 2만 8,838종으로, 1995년부터는 출판규모 세계 7위(중앙일보, 1996.11.5. 13면)내에 들어가는 출판대국이 되었다.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도서관 활성화 공통유통서지DB 학술출판 / ()
출판계-도서관계의 협력방법
5.2.도서관 활성화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도서관 활성화 공통유통서지DB 학술출판 / ()
2.출판계와 도서관계의 협력현재상황
4.1.Japan
2.1.상호협력의 필요성
5.3.공통유통서지DB의 구축
6.conclusion(결론)적 논의
5.1.협력전담기구의 설치
Download : 출판계-도서관계.hwp( 14 )
4.선진국의 협력현재상황
4.4.독일
3.1.현실적 요인
4.3.영국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IMF라는 경제위기에 이어 계속되는 한국경제의 불황속에 그 어느때보다도 출판계의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다아 더불어 정보화사회에 있어서 다양한 매체의 출현에 따른 경쟁이라는 environment(환경) 적 變化에서도 불황의 요인을 찾을 수 있다아 더욱이 신세대들은 다매체 경쟁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활자나 인쇄매체 보다는 영상매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짙으며, 특히나 잠재적 구매력을 소유한 어린이나 adolescent(청소년)들의 독서력이 감퇴하고 있다는 것은1) 개인과 사회적인 문제뿐 아니라 출판산업의 未來(미래)에 있어 암울한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희망적인 것은 많은 출판인들이 독서文化(culture) 의 위기인식과는 별도로 오히려 타매체 경쟁현재상황에도 출판물의 꾸준한 양적 증가와 출판산업과 영상산업이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