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창덕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23:11
본문
Download : 창덕궁 최종판.hwp
순서
Download : 창덕궁 최종판.hwp( 32 )
Ⅰ. 조선의 수도 한양과 오늘날의 서울 1. ‘서울‘이라는 명칭의 由來 대한민국의 수도를 서울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은 1946년 8월 15일 이후 (서벌· 서라벌에서 由來) 우두머리 격의 도시를 의미하는 일반명사로서 예부터 내려온 말 2. 한양의 동양철학적 공간배열 (1) 백악 (하늘의 기를 받는 수직적 공간) +청계천 (땅의 기를 운영하는 수평적 공간) (2) 경복궁을 중심으로 좌묘우사(左廟右社)의 원칙 적용 전통왕조의 기본적 조건 ① 좌에 있는 종묘는 하늘적인 것이며 수직적인 것 ② 우에 있는 사직은 땅적인 것이며 수평적인 것 3. 궁궐의 해태 풍수지리로 본 서울의 지세 → 주위 산으로 둘러싸여 불길에 휩싸인 형국 (1) 불을 삼키는 물의 신인 해태를 궁궐 앞과 모든 교량의 난간에 설치 (2) 청계천(개천)을 중시하는 등 여러 가지 대책이 강구Ⅱ. 조선의 시대별 궁궐과 5대 궁궐 1. 궁궐의 정의(定義) (1) 궁궐 ‘궁’ + ‘궐’ (궁 왕이 신하와 함께 정무를 보고 거처하는 곳) (궐 궁을 지키는 궁성과 성루와 성문 및 부속건물) (2) 궁전(宮殿) 궁궐 안에 있는 전각 (3) 궁실 궁전 건물 중 왕이 사적으로 사용하는 공간 ※ 궁궐 궁전 궁실 2. 여러 가지 전각들 (1) 대전 왕의 기거 공간 (2) 내전 크게 보아 대전(大殿)과 중궁전(中宮殿)으로 구성 (3) 외전 왕이 formula(공식)적으로 신하들을 만나 의식, 연회 등 행사를 치르는 공간 외전의 중심은 정전(正殿) 혹은 법전(法殿)이라고 부르는 건물 (4) 침전 임금의 침실이 있는 공간 (5) 편전 왕이 항상 거처하면서 정사를 보던 궁전 (경복궁 사정전, 창덕궁 선정전 등) 3. 법궁과 이궁...
레포트 창덕궁 최종판 Ⅰ. 조선의 수도 한양과 오늘날의 서울 1. ‘서울‘이라는
레포트 > 기타
설명
[report] 창덕궁
Ⅰ. 조선의 수도 한양과 오늘날의 서울 1. ‘서울‘이라는 명칭의 origin ...





Ⅰ. 조선의 수도 한양과 오늘날의 서울 1. ‘서울‘이라는 명칭의 유래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