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어 음운론의 허와 실- 실용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0:27
본문
Download : 현대국어 음운론의 허와 실- 실용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hwp
, 현대국어 음운론의 허와 실- 실용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1960년대 이후의 국어 음운론 그 중에서도 현대국어에 대한 공시적 연구의 흐름을 정리(arrangement)하고 평가하였습니다. 현실적으로 특정인의 특정 논문에 대하여는 같은 주제의 연구가 후속될 때 어떤 방향으로든 평가가 되기 마련이다. 기존의 논의에서 이미 지적된 그 동안의 긍정적인 성과를 다시 반복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그동안 다소 소홀했다고 판단되는 의문점의 지적에 우선적인 관심을 가지며, 긍정적인 결론이라도 그것을 비판적인 시각에 의한 철저한 검증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곧 모든 연구들의 공통분모가 평가의 일차적 대상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재의 우리와 같은 작업에서는 특정인의 특정한 conclusion 에 대해 관심이 집중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며, 따라서 되도록이면 많은 연구들이 동시에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무엇을 대상으로, 어떤 점을 평가하느냐 하는 것이다. 즉 평가 대상이 되는 연구들이 어떠한 논제들에 대해, 어떠한 방법론으로, 어떠한 conclusion 들을 내리고 있는지를 살핀 다음에 거기에서 찾아진 공통분모들을 본격적인 평가의 일차적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평가의 대상이 한편의 논문인 경우에는 모든 세세한 부분까지 평가의 대상으로 할 수 있겠지만 현재의 우리 작업처럼 적어도 수십 년에 걸쳐 이룩된 많은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사정이 전혀 다르기 때문일것이다 모든 논의의 모든 내용들을 대상으로 하자니 지면과 능력이 문제고 그렇다고 임의로 평가 대상을 한정한다면 자칫 그 대표성에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냉정한 현실 판단을 전제로 이상과 현실의 적절한 타협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다. 기존의 논의에서 이미 지적된 그 동안의 긍정적인 성과를 다시 반복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그동안 다소 소홀했다고 판단되는 의문점의 지적에 우선적인 관심을 가지며, 긍정적인 결론이라도 그것을 비판적인 시각에 의한 철저한 검증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는 것이다.
다.
2. 평가의 대상과 방향
평가의 방법론 모색에서는 평가의 대상과 방향을 결정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problem)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된다.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현대국어 음운론의 허와 실- 실용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hwp( 21 )
순서
현대국어 음운론의 허와 실- 실용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인문사회,레포트
Ⅰ. 머리말
Ⅱ. 평가 방법론
1. 평가의 목적과 원칙
2. 평가의 대상과 방향
3. 평가의 기준과 방법
Ⅲ. 현대국어 음운론의 흐름과 성격
1. 공시 음운론의 등장 배경
2. 논제의 타당성과 적절성
3. 방법론의 비자생성
Ⅳ. 현대국어 음운론의 성과와 반성
1. 음절말 자음체계
2. 모음의 음소 목록
3. 변칙 활용에 대한 음운론적 이해
Ⅳ. 맺음말
이상의 우리 생각을 다시 정리(整理) 한다면, 연구사 서술이나 이를 위한 평가 작업은 궁극적으로 ‘앞으로의 발전을 위한 방향 모색’이라는 目標(목표)를 전제로 해 이루어져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 연구에 대한 무조건적인 긍정이나 옹호보다는 냉정한 비판과 부definition 자세가 좀더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학계에서 흔히 인정되는 통설이 될 수도 있고, 이견이 분분한 쟁점이 될 …(drop)






1960년대 이후의 국어 음운론 그 중에서도 현대국어에 대한 공시적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고 평가하였습니다.
그러면 그러한 공통분모는 어디에서 찾아야 되는가? 모든 연구들이 기본적으로 논제와 방법론 그리고 conclusion 의 3요소로 성립된다면 공통분모도 당연히 그 방향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