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숫자 라는 코드 [한국의 전통문화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0:28
본문
Download : [전통문화] 숫자 라는 코드 [한국의.pptx
우리 민족과 숫자 ‘4’
전통문화,숫자 라는 코드,한국의 전통문화
우리 민족과 숫자 ‘4’ 숫자 ‘3’의 개념과 유래 숫자 삼(三)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 3이 나타내는 민속상의 예 3이 사용된 격언, 속담, 관용어 우리 조상이 좋아한 숫자.
숫자 ‘3’의 concept(개념)과 由來
![[전통문화] 숫자 라는 코드 [한국의-977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C%A0%84%ED%86%B5%EB%AC%B8%ED%99%94%5D%20%EC%88%AB%EC%9E%90%20%EB%9D%BC%EB%8A%94%20%EC%BD%94%EB%93%9C%20%5B%ED%95%9C%EA%B5%AD%EC%9D%98-9770_01.jpg)
![[전통문화] 숫자 라는 코드 [한국의-977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C%A0%84%ED%86%B5%EB%AC%B8%ED%99%94%5D%20%EC%88%AB%EC%9E%90%20%EB%9D%BC%EB%8A%94%20%EC%BD%94%EB%93%9C%20%5B%ED%95%9C%EA%B5%AD%EC%9D%98-9770_02_.jpg)
![[전통문화] 숫자 라는 코드 [한국의-977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C%A0%84%ED%86%B5%EB%AC%B8%ED%99%94%5D%20%EC%88%AB%EC%9E%90%20%EB%9D%BC%EB%8A%94%20%EC%BD%94%EB%93%9C%20%5B%ED%95%9C%EA%B5%AD%EC%9D%98-9770_03_.jpg)
![[전통문화] 숫자 라는 코드 [한국의-9770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C%A0%84%ED%86%B5%EB%AC%B8%ED%99%94%5D%20%EC%88%AB%EC%9E%90%20%EB%9D%BC%EB%8A%94%20%EC%BD%94%EB%93%9C%20%5B%ED%95%9C%EA%B5%AD%EC%9D%98-9770_04_.jpg)
![[전통문화] 숫자 라는 코드 [한국의-9770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C%A0%84%ED%86%B5%EB%AC%B8%ED%99%94%5D%20%EC%88%AB%EC%9E%90%20%EB%9D%BC%EB%8A%94%20%EC%BD%94%EB%93%9C%20%5B%ED%95%9C%EA%B5%AD%EC%9D%98-9770_05_.jpg)
국가보훈처는 광복 60주년을 맞아 실시한 ‘일제잔재 뿌리뽑기 캠페인’에서 ‘4’를 죽음과 연관시키는 현상은 일제 강점기 때부터 생겼다고 지적했다.
다.
설명
Download : [전통문화] 숫자 라는 코드 [한국의.pptx( 55 )
[전통문화] 숫자 라는 코드 [한국의 전통문화 ]
그 예이다. 일본의 ‘4’에 대한 공포증이 우리나라에 퍼지더니 6.25전쟁을 겪으면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까지 겹쳐 우리나라에서도 ‘4’는 불길한 숫자가 됐다.
병원 빌딩 4층을 F층으로 표기한다거나,
우리 조상이 좋아한 숫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이 사용된 격언, 속담, 관용어
통신방송위성인 무궁화 호를 3호 다음 바로 5호를 발사한 것이
순서
일본어에서 ‘4’는 ‘시’로 읽히는데 죽을 사(死)의 발음과 같다.
3이 나타내는 민속상의 예
숫자 삼(三)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
우리나라 사람이 4를 싫어하게 된 것은 100년이 채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