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과 간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09:20
본문
Download : 홍역과_간호.hwp
홍역과 간호
순서
홍역과 간호
1. 홍역이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백신의 개발 이후 선진국에서는 그 발생이 현저히 줄었으나 개발 도상 국가에서는 아직도 흔히 발생하며 생명을 위협하는 주요한 질병으로 남아있따
2. 임상양상
홍역 바이러스
1) 병원체속성
① 홍역 바이러스 : RNA 바이러스로 Paramyxoviridae과에 속하며 혈청 항원은 한 가지만 있음
② 홍역 바이러스는 온도, 광선, 습도 등에 민감하여 외계에서는 장시간 생존하지 못하지만 감염성이 강하여 접촉자의 90%이상이 발병함
③ 인간만이 숙주이며 감염 경로는 호흡기 분비물 등의 비말(dr-oplet)에 의하거나 오염된 물건을 통하여 호흡기로 감염됨
④ 백신을 사용하기 전 5~10세에 호발하였으나 최근에는 10대와 젊은 성인 연령층에서도 발생,
⑤ 신생아는 모체로부터 수동 면역을 획득하지만 이 수동 면역은 생후 첫 4~6개월 동안 유효하며 그 이후부터는 개체에 따라 다양하게 소멸됨
⑥ 전염력 : 전구기에 비인두 분비물에 섞인 바이러스 입자의 전파에 의한 경우가 가장 높으며 감염된 사람의 전염력은 발진이 나타나기 6~7일 전부터 나타나고 발진 2~3일 후가 가장 높음
2) 임상적 속성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급성 유행성 전염병으로 발열, 콧물, 결막염, 홍반성 반점, 구진의 융합성 발진 및 질병 특유의 점막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 홍역과 간호의약보건레포트 , 홍역과 간호
Download : 홍역과_간호.hwp( 12 )
설명
홍역과,간호,의약보건,레포트
다. 한 번 걸린 후 회복되면 평생 면역을 얻게 되어 다시 걸리지 않는다.
3. 증상
홍역의 전형적인 형태는 잠복기(10일∼12일)를 지나 증상이 나타나며 증세를 경하게 하기 위하여 면역 글로불린을 투여 받을 경우에는 잠복기가 21일까지 길어지는 수도 있따
Koplik`s spot 증식된 내피세포
1) 카타르기 (전구기)
① 전염력이 가장 강한 시기, 3∼5일간 지속됨, 전염경로는 직접 또는 간접접촉으로 인한 비말감염
② 발열,…(drop)
홍역과_간호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레포트/의약보건
홍역과_간호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