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04:36
본문
Download : 교육평가_2023811.hwp
왜냐하면 교육평가 결과를 각 교과목마다 수우미양가로 단순 표기하고 있어 때문에 그 교과의 어떤 부분을 중점(예: 교과에 대한 이해도, 독창성, 창의력 등)을 두고 평가하였는지를 알기 어렵다.
④ 결과중심 일변도의 평가
-기존의 평가는 1년에 4次例로 중간·期末考査(기말)로 실시되어, 과정보다는 그 당일 시험 결과로 성적을 평가하였다.
우리나라 교육평가의 체제가 70%의 지필고사와, 30%수행평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수행평가가 도입되어 과정을 중시하고자 하였…(省略)
다.
② 하위정신능력 위주의 평가
③ 교육평가결과의 단순표기
-학생들의 교육평가를 재평가로 인한 feed back이 어렵다. 그러나 미국식 교육평가의 일방적 도입은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곧 평가라는 것이라는 인식과 교육평가를 학생의 성적을 재는 것으로만 인식하는 풍토를 낳았다. 또한 그 수우미양가로 어떤 교과목이 부족한지는 알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 교과의 어떤 영역이 부족한지 판단하는 것도 어렵다. 특히, 중간·期末考査(기말)는 논술형보다는 선택형문제가 출제되어 단순지식의 암기측정(測定) 경향이 짙다.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교육평가
현재 교육평가에 관련되어
교육평가
Download : 교육평가_2023811.hwp( 79 )
,사범교육,레포트
현재 교육평가에 대해서교육평가 , 교육평가사범교육레포트 ,


** 현재 교육평가의 問題點
미국에서 발전된 평가의 관념과 방법을 그대로 수용하여 활용함으로써 비교적 빠른 발전을 할 수 있었다. 여기서 수행평가는 실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그럼 우리나라의 교육평가제도의 問題點을 구체적으로 몇 가지로 나누어 알아보면,
① 상대평가 위주의 평가 지적 영역 일변도의 평가
정답만을 추구하고 제한된 정신기능만을 측정(測定) 하도록 방관하거나 방조하여 결국에는 엄청난 비교육적인 결과를 유발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문제해결능력, 창의력, 판단능력 등 고차적 사고능력은 analysis적 지식의 누적만으로 함양되기 어렵다는 점과 암기 위주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 교육으로는 교육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없다는 관점에서 정답만을 추구하는 선택형 지필검사에만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도록 정책적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