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지각에 관한 theory 및 한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01:25
본문
Download : 형태지각에 관한 이론및 한계.hwp
입력된 모양은 기억상의 모든 형판들과 겹쳐지는 정도에 따라 비교되고 일정 수준 이상에서 가장 많이 겹쳐지는 것이 현재 보이는 모양으로 인식된다 사실 현재의 인지심리학에서 이 理論을 긍정하는 인지심리학자들은 거의 없다. 예를 들어 ‘ㅈ’이라는 형판에서 ‘ㅅ’이라고 오인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셋째, 형판 모형들은 깨끗한 종이 한가운데 적힌 한 글자처럼 주위에 아무 것도 없이 홀로 제…(skip)
순서
레포트/자연과학
형태지각에관한theory 및한계
다.
형태지각에 관한 theory 및 한계
설명
ㄴ. 구성주의 접근
구성주의 접근의 심리학자들은 형태주의자가 그러했듯이 자극 패턴과 지각의 관련에 주목하기보다 마음이 지각을 구성하는 방식에 더 관심을 가진다. 이에 대한 형판맞추기 모형의 보완으로 망막으로부터의 입력패턴을 그와 상응하는 형판과 비교하기 전에 입력패턴의 위치나 방향 또는 크기등을 재조정하여 일련의 중심적 값들(canonical values)을 갖게 한 후에 형판과 비교한다는 理論이 있었으나 이 역시 3차원적 시각 세계에서 시선축이 아닌 다른 축을 중심으로 물체가 회전할 경우에 상대하여 만족할 만한 해답을 주지 못한다.
Download : 형태지각에 관한 이론및 한계.hwp( 34 )
,자연과학,레포트






형태지각에 관한 이론및 한계에 대한 글입니다. 그 각각의 理論들을 크게 나누어 고전적인 모형들과 현대적인 모형들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1. 형판맞추기(template matching) 모형
형판 맞추기 모형은 형태재인을 가장 단순하게 설명(explanation)하는 理論으로서, 어떤 모양이나 형태에 대한 장기기억상의 표상은 외부에 있는 그 모양이나 형태가 망막상에 맺히면서 활성화된 망막세포들의 전체적인 모양의 복제품인 것으로 생각한다. 만약 이것이 가능하다면 인간의 머릿속엔 거의 무한개의 형판들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인간의 정보저장과 처리능력은 유한하므로 이는 불가능하다.
이 理論의 문제가되는점 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indexindex 살펴보면 우선 첫째, 같은 사물이라도 그것을 보는 거리나 위치 혹은 방향이 바뀌어 망막에 맺히는 상의 패턴이 변할 때 제대로 형판과의 비교가 일어날 수 없다.형태지각에관한이론및한계 , 형태지각에 관한 이론및 한계자연과학레포트 ,
형태지각에 관한 theory 및 한계에 대한 글입니다.
둘째, 전체가 아닌 부분적인 대응(partial matches)이 일어날 때 잘못된 인식이 일어나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