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te][현대문학강독]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현대문학강독 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5:58
본문
Download : 이인직「혈의누」[2].hwp
5. 「혈의 누」의 한계
- 방통대 2010-1학기 국어국문학과 3학년 현대문학강독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김홍규, 『한국문학의 이해』, (서울: 민음사, 1986) 조동일,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서울대학교 한국 문학 연구소, 1973), p. 72 윤병로. 『한국 근촵현대 문학사』. 서울: 명문당, 1996. 조태일.『문학의 이해』. 서울: 한샘출판사, 1996. 김선학, 문학에 이르는 길, 목민사, 2000. 공종구, 『한국현대문학론』,국학자료원, 1997. 이재선, 한국 소설사, 민음사, 2000. 김윤식 정호웅(2000), 한국 소설사, 문학동네 김재용(1999),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이성권(1998), 한국 가정소설사 연구, 국학자료원
6.「혈의 누」 의 하편
![이인직「혈의누」[2]-931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C%9D%B4%EC%9D%B8%EC%A7%81%E3%80%8C%ED%98%88%EC%9D%98%EB%88%84%E3%80%8D%5B2%5D-9315_01.gif)
![이인직「혈의누」[2]-931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C%9D%B4%EC%9D%B8%EC%A7%81%E3%80%8C%ED%98%88%EC%9D%98%EB%88%84%E3%80%8D%5B2%5D-9315_02_.gif)
![이인직「혈의누」[2]-931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C%9D%B4%EC%9D%B8%EC%A7%81%E3%80%8C%ED%98%88%EC%9D%98%EB%88%84%E3%80%8D%5B2%5D-9315_03_.gif)
![이인직「혈의누」[2]-9315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C%9D%B4%EC%9D%B8%EC%A7%81%E3%80%8C%ED%98%88%EC%9D%98%EB%88%84%E3%80%8D%5B2%5D-9315_04_.gif)
![이인직「혈의누」[2]-9315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C%9D%B4%EC%9D%B8%EC%A7%81%E3%80%8C%ED%98%88%EC%9D%98%EB%88%84%E3%80%8D%5B2%5D-9315_05_.gif)
설명
- 다양한 reference(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야기의 발단은 청일전쟁(淸日戰爭)의 회오리 바람이 막 지나가고 피비린내가 만연한 평양 어느 곳에서 삼십 세 가량의 여인이 옷도 풀어 헤친 채 허둥거리는 장면에서부터 처음 된다된다. 그리하여 옥련은 갑자기 갈 곳이 없는 신세가 되어 방황하다가, ‘구완서’라는 청년과 알게 되어 함께 미국으로 건너간다.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국어국문학과 3학년 현대문학강독 공통 참고reference(자료)입니다
다. 1900년 38세의 늦은 나이에 日本 으로 유학하여 도쿄의 정치 학교를 졸업한 뒤,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日本 군의 통역관으로 귀국했으며, 그 뒤 <국민신보>와 <만세보>의 주필을 지냈다. 그리고 나라의 큰일을 해야겠다고 결단을 내리고 미국 유학길에 오른다. 이 여인은 전쟁 전 평양에서 안정된 생활을 누리던 김관일의 부인으로, 부인은 거의 탈진한 상태로 모란봉 산비탈의 즐비한 시체 사이에서 헤어진 남편 김관일과 외동딸 옥련이를 찾으며 허둥대다가 日本 헌병에게 끌려간다. 日本 군의관 이노우에의 치료로 완쾌된 뒤 옥련은 그의 양녀가 되어 日本 으로 건너간다. 이러한 활동을 인정받아 그는 경학원(經學院 : 日本 이 조선 왕조의 정신적인 권위를 나타내는 성균관을 격하하여 설치한 기관)의 사성을 지냈으며, 1912년 日本 의 요시히토 천황이 즉위할 때는 이를 찬양하는 헌송문을 지어 바치기도 했다. 그녀는 원래 총명하고 예쁜 탓으로 이노우에 군의로부터 사랑을 받는다. 같은 해에 신소설 「귀(鬼)의 성(聲)」과 「치악산」을 발표했으며, 이어서 「빈선랑(貧鮮郞)의 일미인(日美人)」 「모란봉」을 내놓음으로써 우리나라 제일의 신소설 작가이자 신연극 운동의 선구자가 되었다.
1916년 그는 日本 의 종교인 천리교의 예법에 따른 장례를 치르고 세상을 떠났다.
`혈의 누`라는 작품 title(제목)에서도 그의 친일 경향은 잘 나타난다. 그러나 이노우에 군의가 전사하자, 그의 부인으로부터 냉대를 받게 되고 마침내 집을 나온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reference(자료)] 김홍규, 『한국문학의 이해』, (서울: 민음사, 1986)
그러나 그는 친일 지식인으로, 1910년 日本 에 나라를 빼앗기기 전에는 을사오적의 한 사람인 이완용의 비서로 일하면서 日本 의 조선 강점에 협력했다. 우리말의 어법으로는 `혈루(血淚)` 또는 `피눈물`이 되어야 하지만, 그는 `혈의 누(血の淚)`라는 日本 식 title(제목)을 단 것이다. 고대 소설에서 근대 소설로 넘어가는 다리 역할을 한 것이 신소설인 점을 생각할 때, 우리나라 문학사와 연극사에서 그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 않다.
한편, 남편 김관일은 전쟁의 북새통에 부인과 딸을 잃고는 평양성 안에 있는 자기 집으로 돌아간다. 옥련이는 거기서 日本 교육을 받고 성장한다.
윤병로. 『한국 근촵현대 문학사』. 서울: 명문당, 1996.
김재용(1999),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이성권(1998), 한국 가정소설사 연구, 국학reference(자료)원
4. 신소설의 주제와 시대 의식
이재선, 한국 소설사, 민음사, 2000.
2. 「혈의 누」줄거리
3. 「혈의 누」의 문학사적 의의
조태일.『문학의 이해』. 서울: 한샘출판사, 1996.
이인직, 혈의누, 혈의누줄거리, 문학사적의미, 혈의누의문학사적의미, 현대문학강독
8. 「혈의 누」의 신소설적 특징
순서
[현대문학강독] 이인직의 혈의누에 대한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에 대한 심층적 고찰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7. 日本 이 인도하는 문명 개화의 길
1. 이인직
이인직(李人稙, 1862 ~ 1916)은 1862년에 경기도 이천에서 태어났다.
이러한 부인의 이야기에 이어 딸‘옥련’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Download : 이인직「혈의누」[2].hwp( 34 )
조동일,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서울대학교 한국 문학 연구소, 1973), p. 72
김선학, 문학에 이르는 길, 목민사, 2000.
부인은 남편을 기다리다가 끝내 돌아오지 않자 자살을 결심하고 대동강 물에 뛰어 드나 뱃사공에 의해 구조되고, 딸의 일이 걱정되어 집을 찾아 온 친정아버지를 통해 김관일이 외국 유학을 떠난 사실을 알게 된다된다.
이인직이 작가로서 이름을 널리 알린 것은 <만세보>에 「혈의 누」를 연재하면서부터이다. 그녀는 전쟁의 북새통에 부모를 잃고 왼쪽 다리에 유탄을 맞아 부상당한다.
김윤식 정호웅(2000), 한국 소설사, 문학동네
1. 이인직
공종구, 『한국현대문학론』,국학reference(자료)원, 1997.
이 작품은 김관일과 그의 부인 최씨, 딸 옥련, 그리고 미국 유학생 구완서 등의 인물을 등장시켜 그들의 삶의 곡절을 그리고 있따
-「혈의 누」줄거리
또 1908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 극장인 원각사를 세워 자신의 신소설 「은세계」를 연극으로 상연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신연극(新演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