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과 사상 - 나는 진보인가 보수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2:45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과 사상 - 나는 진보인가 보.hwp
마르크즘에 의하여 러시아에서 볼세비키 혁명이 일어나며, 기존의 산업자본주의를 보수로, 혁명세력이 이끌던 공산사회주의자들을 진보로 규정하였다.
설명
근대사에서 진보와 보수가 분리된 것은 산업자본주의와 공산사회주의로 구분할 수 있다.
다. 이렇듯 진보와 보수는 다같이 발전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이념으로 흔히 보수는 현 체제를 지키려는 세력, 진보는 이를 변혁하려는 세력으로 정의(定義)되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급변과 격동의 history를 갖고 있는 곳에서는 이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매우 어렵다.
우리사회에서 진보에 대한 인식은 진취적이고 자유와 평등을 신봉하는 좋은 것으로 되어 있고 반면에 보수는 낡고 고리타분하며 비합리성이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순서
사회과학과 사상 - 나는 진보인가 보수인가
1.진보와 보수에 대하여...
보수: 새로운 것이나 變化(변화)를 반대하고 전통적인 것을 옹호하며 유지하려 함.





1.진보와 보수에 대하여... 보수: 새로운 것이나 변화를 반대하고 전통적인 것을 옹호하며 유지하려 함. 진보: 역사 발전의 합법칙성에 따라 사회의 변화나 발전을 추구함. 요즘 우리사회에 진보와 보수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원칙론으로는 북한에 대한 태도가 보수와 진보를 가르는 민감한 부분이기도 하나, 진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북한에 대한 혐오가 여전하고, 흔히 보수라고 하는 사람들도 햇볕정책을 부정적으로만 평가하는 것도 아니니, 진보와 보수로 구분하기도 주장하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사전적 의미의 진보란, 사회의 모순을 change(변화)와 개혁을 통하여 발전시켜 나가려는 것이고, 보수란, 급격한 change(변화)보다는 전통의 옹호나 지켜야 할 가치를 지키며, 발전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사회에서 진보에 대한 인식은 진취적이고 자유와 평등을 신봉하는 좋은 것으로 되어 있고 반면에 보수는 낡고 고리타분하며 비합리성이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요즘 우리사회에 진보와 보수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흔히 말하는 좌파와 우파도 진보와 보수와 비슷한 경향을 띠고 있다.
Download : 사회과학과 사상 - 나는 진보인가 보.hwp( 36 )
그렇다면 지금 대한민국에 북한공산주의를 옹호하는 세력이 아니라면 진보라 주장하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한다면 북한공산세력을 진보로, 남한 자본주의 세력을 보수로 보는 것이 맞는 것 같다. 프랑스 국민회의에서 진보적이거나 급진적인 경향을 지닌 세력이 왼쪽에 서고, 보수주의적이거나 온건주의적 경향을 지닌 파가 오른쪽에 서면서 좌파와 우파라는 정당정치 이념이 발생했기 때문일것이다
진보: 歷史 발전의 합법칙성에 따라 사회의 變化(변화)나 발전을 추구함.
사회과학과 사상,나는 진보인가 보수인가
대한민국의 보수와 진보 모두는 무엇인가를 개혁하기 위하여 항상 바쁘기 움직여 왔고, 보수정권이 집권을 하였을 때, 오히려 change(변화)와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최창집 교수는 대한민국에서 여당이 오히려 더 개혁적인 경우가 많았다고 말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