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학기 식물의학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8:10
본문
Download : 20221_핵심요약노트_농학3_식물의학.pdf
제1장 식물의학의 개념
② 생태계 교란 외래잡초는 단풍잎돼지풀, 돼지풀,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도깨비가지, 애기수영, 가시박, 서양금혼초, 미국쑥부쟁이, 양미역취, 가시상추 등 12종임
제1장 식물의학의 concept(개념)
제6장 식물병의 진단
② 전통임상기술과 최근의 첨단임상기술을 통합함과 동시에 체계화하는 것은 식물의학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해결해야할문제임
제17장 무기영양 결핍에 의한 생리장해
2) 돌발해충
순서
1) 방향
1) 피해 원인
제4장 식물병의 발생
3) 생태계 교란 외래 잡초
제8장 병원체와 기주의 상호작용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1. 식물의학의 definition
2. 식물의 피해 원인
제5부 잡초방제, 생리장해 및 기상재해
① 시간 장소에 한정되지 않고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농작물이나 산림에 피해를 주는 토착 및 외래 병해를 말함
제16장 잡초방제
제12장 곤충의 분류





4. 식물의학의 방향
제1부 식물의학의 이해
설명
3. 돌발병해충 및 생태계 교란 잡초
② 식물 보호학은 병리학, 해충학, 잡초학, 작물생리학 등에서 연구한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재해에 의한 농작물의 손실을 줄여 수량을 증대하도록 지원하는 실용적인 학문 분야임
- 중략 -
2022년 1학기 식물의학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제13장 해충방제의 기초理論
제3부 곤충의 特性(특성) 및 분류
제11장 곤충의 기본적 特性(특성)
제3장 식물병의 Cause
① 분자생물학적 기법 등을 활용한 식물병의 효율적인 진단 및 치료, 방제, 예방 등의 첨단 임상기술과 전통임상기술은 병충해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도구가 됨
식물을 재배하는 동안 수량감소나 품질 저하 등의 피해를 주는 요인은 병해, 충해, 잡초해, 동물해, 기상재해, 생리장해, 약해, 공해 등임
기후와 농업環境(환경) change(변화)에 따라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돌발외래해충인 갈색 날개매미충, 꽃매미, 미국선녀벌레, 갈색여치 등이 있음
제15장 해충 각론
① 식물의학은 식물에 피해를 주는 병해충, 잡초, 약해, 생리장해, 기상재해 등의 원인과 발생 경로를 밝히고 재해의 잔단, 예방, 치료 및 방제를 통하여 식물을 건강하게 생육하는 방법을 연구, 개발하는 학문임
제10장 주요 농작물 및 수목의 병해
Download : 20221_핵심요약노트_농학3_식물의학.pdf( 86 )
제5장 병원의 종류와 特性(특성)
식물의학,방통대식물의학,방송대식물의학,식물의학시험,식물의학요약
제18장 기상재해 및 대책
제2장 병해충, 잡초, 유해동물, 기상재해의 발생현황 및 피해
제2부 식물병
제14장 해충방제법
1) 돌발병해
제4부 작물의 해충
1) definition
제9장 식물병의 관리
제1부 식물의학의 이해
② 돌발병해 중 토착병해로는 탄저병, 역병, 토마토 궤양병, 풋마름병 등이 있음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제1부 식물의학의 이해 제1장 식물의학의 개념 제2장 병해충, 잡초, 유해동물, 기상재해의 발생현황 및 피해 제2부 식물병 제3장 식물병의 원인 제4장 식물병의 발생 제5장 병원의 종류와 특성 제6장 식물병의 진단 제7장 발병과 환경 제8장 병원체와 기주의 상호작용 제9장 식물병의 관리 제10장 주요 농작물 및 수목의 병해 제3부 곤충의 특성 및 분류 제11장 곤충의 기본적 특성 제12장 곤충의 분류 제4부 작물의 해충 제13장 해충방제의 기초이론 제14장 해충방제법 제15장 해충 각론 제5부 잡초방제, 생리장해 및 기상재해 제16장 잡초방제 제17장 무기영양 결핍에 의한 생리장해 제18장 기상재해 및 대책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③ 최근의 외래 병해로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순무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 토마토퇴록바이러스,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 사탕무황화바이러스, 배나무불마름병균 등이 있음
① 외국에서 국내에 유입되어 생물다양성 감소, 생태계 교란 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생물종을 생태계 교란 야생동식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음
제7장 발병과 environment(환경)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