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실록의 작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23:36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 실록의 작성.hwp
실록은 독립된 관청에서 임명되는 관원들에 의하여 편찬되었다는 것이다.
실록이라는 歷史적 실재는 편찬주체로써 개인이나 가업이 아닌 관청이 된다는 것, 그리고 자연스럽게 그 관청에 근무하는 관원들의 공동작업이 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실록 - 사관 - 분찬을 실록의 출현과 관련한 유기적 구성요소로 제시할 수 있따 애초 이는 현존하는 사료가 없는 우리 歷史에서 실록의 존재를 확인하려는 방법으로 고안한 것이기는 했지만, 실록의 출현에 마주향하여 도 마찬가지의 추론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그보다는 유지기의 지적은 앞으로 실록편찬과 관련하여 해결해야 할 problem(문제점)을 역설적으로 제시한 셈이었다. 유지기의 비평은 매우 타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대의 흐름을 되돌릴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결국 우리가 실록의 탄생과 관련하여 확인할 …(생략(省略))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조선시대 실록의 작성.hwp( 23 )
설명
조선시대 실록의 작성






조선시대실록의작성과
레포트/인문사회
조선시대 실록의 작성에 대한 글입니다.
이는 이러한 실록이라는 새로운 歷史편찬 방식에 대하여 반론을 통해서 확연히 알 수 있따 china(중국) 歷史상 탁월한 歷史학자 중 한 명이랄 수 있는 유지기는 측천무후 실록을 편찬하는 상황을 ‘무엇을 기록할 지 몰라 붓만 빨고 있다’고 묘사한 뒤 신랄하게 그 편찬방식과 수준의 저급성을 지적하였다.
이런 점에서 실록은 인류 歷史·동아시아 歷史에서 통시대적 歷史편찬의 事例가 아니라, 비록 1000년을 넘게 지속되기는 했지만, 역시 제한된 시기동안 이루어진 사건이라는 점에서 매우 ‘歷史적’ 현상이라는 것이다.조선시대실록의작성과 , 조선시대 실록의 작성인문사회레포트 ,
이후 실록은 황제의 사후에 편찬하는 것이 관례가 되어, 청이 멸망할 때까지 계속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통일신라시대 어느 무렵부터 실록편찬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조선왕조실록으로까지 이어졌던 것이다.
순서
조선시대 실록의 작성에 대한 글입니다.
다. 이 단순하고 우리의 상식으로는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일이 당시에는 그렇지 않았던가 보다. 그리고 실질적으로는『일성록』의 편찬과 함께, 형식적으로는『고종실록』과『순종실록』의 편찬을 끝으로 歷史적 운명을 다하였다. 유지기가「오시」에서 비판한 내용은 다름 아닌 사관이라는 관청에서 전문성이 떨어지는 관원들에 의하여 분찬 방식으로 실록을 편찬하는 데 대한 불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