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별곡과 ‘고려 무악’과의 관련 양상 연구한림별곡과 ‘고려 무악’과의 관련 양상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05:10
본문
Download : 한림별곡과 ‘고려 무악’과의 관련 양상 연구한림별곡과 ‘고려 무악’과의 관련 양상 연구.hwp
악곡을 나누는 기준으로는 <한림별곡> 각 구와의 공통 선율선을 중심으로 한다.
이 <나례가>도 <한림별곡>이나 <삼성대왕>처럼 후반부의 종지 선율선(리라리:궁-상일-궁-하일-하이-하삼-하사-하오)이 전반부의 종지 선율선(도 금선이)을 그대로 차용하여 똑같이 반복하고 있따 이처럼 <나례가>의 음악이 <한림별곡>이나 <삼성대왕>의 음악처럼 종지 선율을 중심으로 전·후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므로, 이 곡도 <한림별곡>이나 <삼성대왕>의 악곡구조처럼 전반을 1·2·3·4구, 후반을 엽 1·2·3구로 나누어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악곡을 나눈다면 다음과 같다.<나례가>의 악곡구조는 앞에서 살펴본 <한림별곡>이나 <삼성대왕>과 마찬가지로 하행 종지 선율(하삼~하오)를 기준으로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 ...
<나례가>의 악곡구조는 앞에서 살펴본 <한림별곡>이나 <삼성대왕>과 마찬가지로 하행 종지 선율(하삼~하오)를 기준으로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 ... , 한림별곡과 ‘고려 무악’과의 관련 양상 연구한림별곡과 ‘고려 무악’과의 관련 양상 연구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Download : 한림별곡과 ‘고려 무악’과의 관련 양상 연구한림별곡과 ‘고려 무악’과의 관련 양상 연구.hwp( 68 )
<나례가>의 악곡구조는 앞에서 살펴본 <한림별곡>이나 <삼성대왕>과 마찬가지로 하행 종지 선율(하삼~하오)를 기준으로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 볼 수 있따 전반부 악곡은 제7행까지이고, 후반부 악곡은 제8~10행까지로 3행을 차지한다.
먼저 전반 4구의 악곡구조를 보면, 1구는 제2행까지(나례일이:궁~궁)이고, 2구는 제3행 1대강(광대:상이)부터 제4행 4대강(이다:궁-하일-궁)까지이고, 3구는 제4행 5대강(에:궁상이)부터 제6행 4대강(~:하이~)까지이고, 4구는 제6행 5대강(귀의:상일-상이-상이)부터 제7행 끝(금선이:하삼~하오)까지로 볼 수 있따
다음으로 후반(엽)의 악곡구조를 보면, 3구형식이 무너져, <한…(省略)






설명
레포트/기타
순서
한림별곡과 ‘고려 무악’과의 관련 양상 연구한림별곡과 ‘고려 무악’과의 관련 양상 연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