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통합에 관한 네트워크 접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20:36
본문
Download : 민족통합에 관한 네트워크 접근.hwp
그러므로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강한 동질성, 정체성, 연대감을 가질 수 없게 된다된다. 먼저 정보 네트워크 구성에 관해 살펴본다.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3.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책략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남북한과 해외...
3.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戰略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남북한과 해외에 산재해 있는 한민족 구성원들을 정보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과 인적 교류, 문화적 교류, 경제적 교류 등 각종 ‘저강도 교류 사업’(low-intensity exchange programs)을 추진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많은 구성원들이 동질성과 정체성을 회복하게 되고, 강한 연대감과 귀속감을 발전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국내외에 폭넓게 분산되어 있는 7,400만 한민족 구성원들은 혈통, 언어, 전통, 관습 등 여러 측면에서 기초적인 공통성과 정체성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되면 146개국에 산재하여 대면적 상호작용이 어려운 한민족 구성원들을 시공간을 초월하여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구성원들 사이에는 (해외 동포들과 남북한 사이, 그리고 해외동포들 상호간에) 현실적으로 다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가 어렵고, 따라서 서로가 공감하는 공동체적 연대감을 발전시키기도 어렵다. 이중 KOREALIST와 INTERKOREA 두 홈페이지는 가장 포괄적인 홈페이지로서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정보를 매우 폭넓게…(drop)
Download : 민족통합에 관한 네트워크 접근.hwp( 89 )
3.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전략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남북한과 해외... , 민족통합에 관한 네트워크 접근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민족통합에 관한 네트워크 접근
다.
이같은 관점에서 그동안 국내외에 거주하는 한민족 구성원들을 위해 다양한 Internet 홈페이지가 개설·운영되고 있따 대표적인 홈페이지 주소는 아래의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달리 말하면 한민족 공동체의 발전 수준이 대단히 낮다고 볼 수 있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구성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공동체의 발전수준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방안(方案)은 ‘사이버 공동체’(cyber community: 남북한과 주변지역을 Internet상의 홈페이지를 통해 연결)를 구축하여 한민족 구성원들을 다양한 정보 네트워크로 종횡으로 연결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