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goto.kr 궁도 > cangoto1 | cangoto.kr report

궁도 > cangoto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ngoto1

궁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01:44

본문




Download : 궁도.hwp




고조선에 예속하였던 예와 옥저가 궁시를 사용하였고 인접한 부여와 읍루도 이미 궁시를 가지고 있었으며 고조선과 대립하였던 삼한이 또한 궁시를 사용하였던 점으로 보아 고조선에도 궁시가 있었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점차 전해내려 오면서 산뽕나무와 산비마자는 목궁의 좋은 재료이므로 각각 궁간상, 궁간목이라는 별칭이 있으며 특히 궁간목은 탄력이 아주 강하여 좋은 활은 이것을 전체에 다 사용하고 보통 활은 내면만 이것으로 붙였다.
단궁앞에 낙랑을 붙인 것은 당시 한인이 조선을 가리킬 때 낙랑이라고 하였
기 때문일것이다
따라서 낙랑단궁은 곧 조선단궁이라 할 수 있으며 어느 한 지방에 국한 되어 사용되었거나 한사군시대(漢四郡時代)에 비로소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고조선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이것은 그 후 만주지방까지 퍼져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한국 목궁의 시초는 곧 단궁이라 할 수 있다아
단궁은 각궁이 출현한 후에도 함께 사용된 목궁으로서 그 재료는 박달나무이다.설명



Download : 궁도.hwp( 50 )



,공학기술,레포트
궁도




순서


문헌 및 유적에 의하면 우리민족은 선사시대부터 궁시(弓矢)를 사용했으며 이는 한국 전역에 걸쳐 출토된 타제(打製) 및 마제석촉(磨製石 )으로 보아 분명하다.


궁도 , 궁도공학기술레포트 ,




궁도


궁도_hwp_01.gif 궁도_hwp_02.gif 궁도_hwp_03.gif 궁도_hwp_04.gif 궁도_hwp_05.gif

레포트/공학기술

다.
전체 12,50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ngot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