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근대 대서양의 생태학적 교류에 있어서의 흑인 노예들의 역활 - 구대륙 vs 신대륙라는 이분법적 구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8:25본문
Download :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근대 대서.hwp
따라서 이번에는 대서양을 살아 건넌 흑인 노예들은 신대륙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였을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겠다. 크로스비는 신대륙의 환경變化가 구대륙의 생태계의 일부가 이식된 결과라고 인식하였다. Columbian Exchange란 단지 교류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해 구대륙과, 특히, 신대륙의 근본적인 생태환경이 어마어마한 變化를 겪게 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기 때문일 것이다. 처음 이 단어를 사용한 것은 역싸학자 알프레드 크로스비로, 그가 1972년 그의 책 The Columbian Exchange을 펴냄으로써 이 개념(槪念)이 학계뿐만 아니라 일반상식에도 등장하게 되었다. 그의 주장은 유럽의 팽창과 더불어 유럽세계의 생태계 또한 팽창하였으며, 그 결과 신대륙의 대부분의 토착종이 소멸하고 구대륙과 유사한 생태계가 구성되었다는 주장이다. 그 역사적 사건 속에서 그 많은 흑인 노예들은 그저 노예, 노동을 제공하는 값싼 상품으로서만 대서양을 건너고, 신대륙에 어떤 지속적인 변화를 주체적으로 초래하지는 못했던 것일까?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근대 대서-4528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D%95%B4%EC%96%91%ED%8C%BD%EC%B0%BD%EA%B3%BC%20%EA%B7%BC%EB%8C%80%EC%9D%98%20%ED%98%95%EC%84%B1%5D%20%EA%B7%BC%EB%8C%80%20%EB%8C%80%EC%84%9C-4528_01.jpg)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근대 대서-4528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D%95%B4%EC%96%91%ED%8C%BD%EC%B0%BD%EA%B3%BC%20%EA%B7%BC%EB%8C%80%EC%9D%98%20%ED%98%95%EC%84%B1%5D%20%EA%B7%BC%EB%8C%80%20%EB%8C%80%EC%84%9C-4528_02_.jpg)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근대 대서-4528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D%95%B4%EC%96%91%ED%8C%BD%EC%B0%BD%EA%B3%BC%20%EA%B7%BC%EB%8C%80%EC%9D%98%20%ED%98%95%EC%84%B1%5D%20%EA%B7%BC%EB%8C%80%20%EB%8C%80%EC%84%9C-4528_03_.jpg)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근대 대서-4528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D%95%B4%EC%96%91%ED%8C%BD%EC%B0%BD%EA%B3%BC%20%EA%B7%BC%EB%8C%80%EC%9D%98%20%ED%98%95%EC%84%B1%5D%20%EA%B7%BC%EB%8C%80%20%EB%8C%80%EC%84%9C-4528_04_.jpg)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근대 대서-4528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D%95%B4%EC%96%91%ED%8C%BD%EC%B0%BD%EA%B3%BC%20%EA%B7%BC%EB%8C%80%EC%9D%98%20%ED%98%95%EC%84%B1%5D%20%EA%B7%BC%EB%8C%80%20%EB%8C%80%EC%84%9C-4528_05_.jpg)
해양팽창,근대의 형성,근대 대서양의 생태학적 교류,흑인 노예들의 역활 ,구대륙 vs 신대륙, 이분법적 구도
이 개념(槪念)이 처음 등장한 이후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1. Columbian Exchange
항상 노예무역이라는 화두에는 중간항해(Middle Passage)의 비참한 모습의 이미지가 따라붙는다. columbian이란 단어가 붙은 것은, 이 폭발적인 현상을 촉발한 것이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1492년의 신대륙 발견이라는 기념비적 사건이기 때문일것이다
설명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근대 대서양의 생태학적 교류에 있어서의 흑인 노예들의 역활 - 구대륙 vs 신대륙라는 이분법적 구도의 허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항상 노예무역이라는 화두에는 중간항해(Middle Passage)의 비참한 모습의 이미지가 따라붙는다. 크로스비의 주장은 신대륙에서 일어난 토착종의 쇠태와 외래종의 확산을 유럽의 팽창과 연관시켜 날카롭게 觀察(관찰) 하였다는 점
Download :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근대 대서.hwp( 47 )
Columbian exchange란 근대에 이르러 해상 교류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생물학적 교환이 급속하게 일어난 현상을 말한다. 물론 이 노예무역이 몇 명이나 되는 노예를 실어 날랐으며, 그 과정에서 죽은 노예의 비율이 5%냐 10%냐 아니면 20%냐, 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밝히는 것도 중요하기는 하겠지만, 살아남은 흑인노예들이 도착한 뒤에는 어떻게 살아갔고 어떠한 유산을 남겼는지 또한 그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질문일 것이다. 이것은 동물과 식물, 문화와 인구, 전염병 등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개념(槪念)으로, 주로 새롭게 발견된 신대륙과 기존의 구대륙 간의 교류를 칭한다. 물론 이 노예무역이 몇 명이나 되는 노예를 실어 날랐으며, 그 과정에서 죽은 노예의 비율이 5%냐 10%냐 아니면 20%냐, 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밝히는 것도 중요하기는 하겠지만, 살아남은 흑인노예들이 도착한 뒤에는 어떻게 살아갔고 어떠한 유산을 남겼는지 또한 그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질문일 것이다. 그 중에서도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아무래도 크로스비 본인의 생태제국주의라는 개념(槪念)이다. 따라서 이번에는 대서양을 살아 건넌 흑인 노예들은 신대륙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였을까라는 질문으로 스타트하겠다. 그 歷史(역사)적 사건 속에서 그 많은 흑인 노예들은 그저 노예, 노동을 제공하는 값싼 상품으로서만 대서양을 건너고, 신대륙에 어떤 지속적인 變化(변화)를 주체적으로 초래하지는 못했던 것일까?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