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goto.kr [PIC] 꽃담에 대하여 > cangoto1 | cangoto.kr report

[PIC] 꽃담에 대하여 > cangoto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ngoto1

[PIC] 꽃담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08:59

본문




Download : 꽃담에 대해서.hwp




당나라 측전무후 때 장안에 모란이 크게 번성하였다고 하며 당나라 이래 모란꽃은 번영 창성(昌盛)의 꽃으로 미호 (美好)와 행복의 상징으로 널리 애호되었다.생활과디자인[1] , 꽃담에 대해서인문사회레포트 ,

□ 머리말
□ 꽃담의 기원
□ 꽃담의 종류와 구성
□ 꽃담의 무늬
□ 경복궁을 다녀와서 (꽃담 사진)
□ 경복궁의 문양 사진들
□ 중국(中國)의 문양(담)

복숭아는 일명 `서왕모의 복숭아라고 칭하기도 하기도 한다. 장수를 축원하는 그림가운데 [수성노인도(壽星老人圖)]가 있는데 수성노인이 복숭아를 손에 들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따 이밖에도 복숭아는 십장생도류의 그림에 주인격으로 등장하고 있따
모란꽃 문양은 연꽃보다 약 천년 뒤에 나타났다. 전설적인 산 곤륜산에 살고 있는 신선 서왕모가 가꾸었다는 천도(天桃)는 3천년만에 한 번 꽃이 피고 3천년만에 열매를 맺는다고 한다. 송(宋)나라 주돈이가 [애련설(愛蓮說)]에서 `당나라 이래로 세상 사람들이 모두 모란을 사랑하였는데 모란은 꽃 가운데 부귀다(自唐以來 世人甚愛牧丹 牧丹 … 花之富貴者也).`라고 한 이후로 부귀 길상의 상징물로 받아들여졌다.』

- 그 외 글자들과 문양들
『경복궁 서쪽 담의 문양 : 전과 화장줄눈의 비율이 2:1인 자 무늬인데 이러한 문양은 직선 직선무늬 : 단순한 일직선…(To be continued )
꽃담에 대한 說明(설명) 과 우리나라와 中國의 꽃담 문양과 비교하여 쓴 글입니다. 3천갑자 동방삭도 이 복숭아를 훔쳐 먹고 오랫동안 살았다고 한다. 송나라 때 모란은 부귀화 또는 `꽃 가운데 왕자[花中之王]`이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 자경전 서쪽담
『뇌문으로 가장자리를 구획하고 전돌로 칸을 취 쥐 면회하였다. 예로부터 무릇 수도라고 일컬을 때는 모두 장수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복숭아는 장수를 축원하는 잔치에 빼놓을 수 없는 과일이 되었다.





꽃담에%20대해서_hwp_01.gif 꽃담에%20대해서_hwp_02.gif 꽃담에%20대해서_hwp_03.gif 꽃담에%20대해서_hwp_04.gif 꽃담에%20대해서_hwp_05.gif 꽃담에%20대해서_hwp_06.gif




꽃담에 대하여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꽃담에 대해서.hwp( 18 )


생활과디자인[1]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다.꽃담에 대한 설명과 우리나라와 중국의 꽃담 문양과 비교하여 쓴 글입니다. 육각의 칸마다 꽃과 나비 가 있는 화려한 꽃담으로, 이곳이 여성이 거처하는 곳임을 암시하기도 한다. 모란꽃 문양은 회화, 자수, 공예품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애호되었는데 장미꽃과 함께 배치하여 부귀장춘 (富貴長春),수석이나 복숭아와 더불어 장명부귀(長命富貴), 수선화와 같이 그려 신선부귀(神仙富貴)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했다. 상고 시절에는 모란을 작약(芍葯)으로 불렀으나 당 이후 목작약 (木芍葯)을 모란이라고 불렀다.
전체 12,50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ngot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