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을위한성격theory(이론)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4 03:39본문
Download : 상담을위한성격이론고.hwp
로저스는 현재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과거 그 자체가 아니라 과거에 대한 각 개인의 현재의 해석이라고 할 정도로 현재의 현상학적 장을 중시하였다.상담을위한성격이론고 , 상담을위한성격이론고인문사회레포트 ,
다.
2.2 자아
self-concept
(자아definition )
만들어진 나 real-self
(유기체적자아) 진짜 나 인정과 거부의 경험을 통해서 사람들은 자기평가를 하게 되는데 이렇게 평가를 통해 얻게 된 자기의 모습이 자아definition (self-concept)이다.
레포트/인문사회
상담을위한성격theory(이론)고
상담을위한성격이론에 대해 고찰했습니다. 로저스는 자아가 현재 자신의 모습에 대한 인식, 즉 유기체적 자아(real-self)와 앞으로 자신이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며, 어떤 존재가 되기를 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 즉 만들어진 나의 자아definition (self-concept)로 구성되어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동일한 사건을 경험한 두 사람도 각기 다르게 행동할 수 있고, 이러한 속성 때문에 모든 개인은 서로 다른 독특한 특성(特性)을 보이는 인간행동에 대한 현상학적 관점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촉진적 치료관계를 통하여 내담자는 긍정적 자기존중을 하는 방향으로 alteration(변화) 할 수 있으며 마음속에 들어있는 참된 자아 (real-self)를 찾게 …(생략(省略))
상담을위한성격theory(이론)에 대해 고찰했습니다. 로저스는 real-self 와 self-concept 사이의 일치가 매우 중요하며, 이 양자가 일치될 경우에는 適應(적응)적이고 건강한 성격을 갖게 되는 반면 real-self 와 self-concept 사이의 괴리가 클수록 부適應(적응)하게 되며, 모든 사람들이 자기 삶을 추구하지 못하는 이유는 자아definition 을 잘 못 형성한 결과로 보았다.상담을위한성격theory(이론)고
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상담을위한성격이론고.hwp( 66 )
현실, 즉 현상학적 장만이 존재한다고 본다. 로저스는 이러한 자기가 사용하는 기본적 방어기제로서 왜곡과 부인을 제시하였다.
3. 상담자의 역할
로저스는 내담자가 자신의 내적 준거 틀을 정확히 이해하게 함으로써, 내담자의 내적 및 environment내에서 긍정적인 행동alteration(변화) 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치료목표(goal)를 두고 있다 이러한 치료목표(goal)를 달성하기 위하여 치료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경험세계를 탐색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촉진적 조건을 제공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