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 쓰기(Writing) 특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01:14본문
Download : 쓰기(Writing) 특강.doc
Writing특강cimous , 쓰기(Writing) 특강기타레포트 ,
%20%ED%8A%B9%EA%B0%95_doc_01.gif)
%20%ED%8A%B9%EA%B0%95_doc_02.gif)
%20%ED%8A%B9%EA%B0%95_doc_03.gif)
%20%ED%8A%B9%EA%B0%95_doc_04.gif)
%20%ED%8A%B9%EA%B0%95_doc_05.gif)
%20%ED%8A%B9%EA%B0%95_doc_06.gif)
설명
,기타,레포트
Download : 쓰기(Writing) 특강.doc( 55 )
3. Writing 과 Composition은 어떻게 다르나?
Writing 의 유형을 살펴보면 차이점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군요.
a. Writing with composing(문장을 배열하고 조직하는 구성능력이 요구되는 작문)
편지 작성, e-mail 작성, 일기 쓰기, 연설문 작성, 교안 작성, 신문 기사 작성, essay 작성 등
b. Writing without composing(문장의 배열, 조직이 불필요한 작문)
메모 작성, shopping list 작성, 출입국 신고서 작성, 운전 면허증 신청서 등
그럼 다음은 쓰기를 잘하려면 어떤 능력이 필요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몇몇 학자들의 견해를 introduction해 보지요.
4. Writing을 잘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어떤 능력이 필요하나?
Scarcella 와 Oxford라는 학자는 다음과 같이 4가지 능력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사실 옛날에는 쓰기란 바로 이 문법적 능력과 동의어였지요. 어쩌면 지금도 많은 사람들은 쓰기 능력을 `문법적 능력`과 동의어로 해석하고 있지는 않는지.
b. 사회언어학적 능력(sociolinguistic competence)
필자가 글의 목적, 주제, 독자에 따라 표현이나 내용을 다양화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c. 담화 능력(discourse competence)
지시어(reference)의 바른 사용, drop(ellipsis) 등을 통해 글을 일관성(coherence), 결합성(cohesion) 있게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d. 戰略적 능력(strategic competence)
브래인스토밍 등을 통해 아이디어를 얻고, 초고를 쓰고, 수정하는 등의 戰略을 말합니다. 어쩌면 이 능력이야 말로 위 a. 문법적 능력보다 더 중요한 것일 수 있습니다.
쓰기…(drop)
쓰기(writing) 특강 자료(data)로서 쓰기 능력에 대상으로하여 說明(설명) 했습니다.
Writing특강cimous
다.
a. 문법적 능력(grammatical competence)
문법, 구문, 어휘, 철자, 구두법 등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쓰기(Writing) 특강
순서
레포트/기타
쓰기(writing) 특강 자료로서 쓰기 능력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