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로감염 케이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6 21:31
본문
Download : 요로감염 케이스.hwp
설명
요로감염에 대해서 문헌고찰을 실시하고 실제 환자에 대한 간호과정을 정리(整理) 하였습니다.
▶분류 및 definition
① 방광염 (하부요로감염)
- 방광까지만 국한된 감염
② 급성 신우신염(상부요로감염, 급성 세균성 신염)
- 신우 및 신수질까지 파급된 감염
③ 무증상 세균뇨
- 요로감염의 증상이 없이 소변에 세균이 존재하는 상태
- 대부분 심한 신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며, 대개는 치료하지 않는다
여아 > 남아
④ 요 패혈증
- 세균성 질환의 전신적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열성 요로감염
- 혈액배양 검사에서 요로에서 병원체가 나타남.
▶발생기전
- 국소 방어 기전(남아의 긴 요도, 규칙적인 배뇨)이 결여
- 요로계 기형으로 인한 소변 정체
ㅡ> 방광 벽의 국소 방어 작용이 깨지면 세균이 증식.
☀여아
·하부요로 구조의 문제.
·-요도의 길이가 짧아 배뇨 후 세균이 방광으로 역류 할 수 있음
☀남아
·포피에 존재하는 세균이 문제.
-포경 수술을 하지 않은 남아에서 요로 감염의 발병률이 10배 이상 높다고 함.
2세이상 (여아보다 발생빈도 ↓)
-요도가 보다 길고 전립선의 분비물은 항세균성
▶위험요소
-여아, 비포경 수술 남아, 방광 요관 역류, 폐쇄성 요로계 기형, 신경성 방광, 음순
유착…(skip)
,의약보건,레포트
요로감염케이스
다.
순서






요로감염 케이스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요로감염 케이스.hwp( 43 )
요로감염에 대해서 문헌고찰을 실시하고 실제 환자에 대한 간호과정을 정리하였습니다.요로감염케이스 , 요로감염 케이스의약보건레포트 ,
문헌고찰
-빈도
-분류 및 definition
-발생기전
-위험요소
-진단
-치료
간호사정
간호과정
▣ 문헌 고찰
- 소아에서 가장 흔한 세균성 질환
- 상당수에서 요로계 이상을 동반하므로 항생체 치료후 요로계 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요로계 기형과 신반흔을 진단해야 한다.
▶빈도
- 여아의 약 3-5%, 남아의 약 1%에서 요로감염을 경험
- 신생아기, 영아기(생후 2년까지)에는 남아에서 발생빈도↑
- 이후에는 여아에서 발생빈도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