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10:36본문
Download : 공리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_2045921.hwp
벤담은 또 이러한 원리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보고 결국 이기적인 개인의 결합체인 사회의 기본원리를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서 구하였다.
두 철학자의 사상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벤담은 인간의 본성은 고통과 쾌락에 의하여 지배되고 모든 인간행위의 동기는 필연적으로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는 데 있으며, 그 결과 쾌락과 고통은 모든 인간행위에 대한 선악판단의 기준이 되는 것이라 했다. 벤담의 주장이 어떠한 질적(質的) 차이도 무시된 다수인의 행복이라는 점에 반해, J.S.밀은 쾌락과 고통을 인간행동의 유일한 동기로 본다는 점에서는 벤담의 공리주의를 그대로 계승하였지만 쾌락이 모두 양적(量的)으로 계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질적인 차이를 가지는 것이며 감각적 쾌락보다는 정신적 쾌락이 더 중요하다고 함으로써 공리주의를 수정하였다. 공리주의는 영국 산업혁명기의 사상적 표현으로 등장하여, 여러 해 동안 수정·보완되면서 특히 1세기 영국의 선거제도와 의회 제도를 비롯한 정치·법률·경제 등의 여러 제도의 민주적 개혁에 크게 이바지한 뒤, 산업자본주의의 전환과 함께 T.H.그린 등의 이상주의로 바뀌어 갔다.




공리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
레포트/인문사회
(1) 공리주의
공리주의는 공리(功利)를 증진시키는 것을 행위의 목적과 선악(善惡)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다. 특히 그는 국가의 기초는 계약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必要性에 있고, 그 必要性이란 개인을 산술적으로 계산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공리성의 산…(생략(省略))
공리주의를 정의하고 과학적 사회주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법이나 정치제도 또는 도덕이나 종교도 모두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에 기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그 정당성이 판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현대윤리- , 공리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Download : 공리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_2045921.hwp( 51 )
순서
다. 또 벤담은 “모든 사람은 하나로 취급되어야 하며 누구도 그 이상일수 없다. 개인주의와 합리주의를 사상적 기초로 하여 공리 또는 최대의 행복 원리를 도덕의 기초로 삼는데, 벤담에 의하여 세계화되었고, 밀을 중심으로 한 철학적 급진주의자에 의하여 발전된 사상이다.
,인문사회,레포트
현대윤리-
공리주의를 정의하고 과학적 사회주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고 하며 평등의 원칙을 중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