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goto.kr [공학,기술]OS 핀토스와 유닉스 명령어 구현 > cangoto2 | cangoto.kr report

[공학,기술]OS 핀토스와 유닉스 명령어 구현 > cangoto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ngoto2

[공학,기술]OS 핀토스와 유닉스 명령어 구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9 14:56

본문




Download : [공학,기술]OS 핀토스와 유닉스 명령어 구현.hwp




project 1과는 달리 main 부분을 살펴보니 전에는 else 문으로 들어가서 run_task 되는 부분이 이번에는 그 위에 부분 USERPROG 영역에 Process_start에…(省略)


설명



다.
2 ) 목 표
- I/O 및 System call을 이용한 사용자 프로그램(program]) 과 운영체제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 메모리/프로세스/스레드 관리 과정 제작시 효율성을 고려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필수적인 효율적인 설계에 대한 경험을 축적한다.
- Argument Passing 방법을 구현한다.
- Argument Passing 방법을 구현한다.
2 ) 목 표
- I/O 및 System call을 이용한 사용자 프로그램(program]) 과 운영체제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 User Program이 발생시키는 시스템 콜들의 처리를 구현한다.
- 메모리/프로세스/스레드 관리 과정 제작시 효율성을 고려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필수적인 효율적인 설계에 대한 경험을 축적한다.

2. Project 2의 구현사양

사용자 프로그램(program]) 실행을 위한 기본 environment 제작 구현
- Argument Passing
- Understanding system call infrastucture
시스템 콜 구현
- halt, exit systemp call 구현
- Process_wait함수 구현, bad pointer access 방지
- File 관련 시스템 콜 구현
- Exec 및 wait 시스템 콜 구현

3. Project 2의 상세 구현

- argument Passing & system call
1) Argument Passing

- 처음 접근을 교수님의 보강으로 인해 접해보고 여러 data(資料)들을 보고 프로그램(program]) 의 흐름을 타 보기로 했다.
- User Program이 발생시키는 시스템 콜들의 처리를 구현한다.[공학,기술]OS,핀토스와,유닉스,명령어,구현,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OS 핀토스와 유닉스 명령어 구현

Download : [공학,기술]OS 핀토스와 유닉스 명령어 구현.hwp( 33 )




순서

[공학,기술]OS 핀토스와 유닉스 명령어 구현


[공학,기술]OS%20핀토스와%20유닉스%20명령어%20구현_hwp_01.gif [공학,기술]OS%20핀토스와%20유닉스%20명령어%20구현_hwp_02.gif [공학,기술]OS%20핀토스와%20유닉스%20명령어%20구현_hwp_03.gif [공학,기술]OS%20핀토스와%20유닉스%20명령어%20구현_hwp_04.gif [공학,기술]OS%20핀토스와%20유닉스%20명령어%20구현_hwp_05.gif [공학,기술]OS%20핀토스와%20유닉스%20명령어%20구현_hwp_06.gif

[공학,기술]OS 핀토스와 유닉스 명령어 구현 , [공학,기술]OS 핀토스와 유닉스 명령어 구현공학기술레포트 , [공학 기술]OS 핀토스와 유닉스 명령어 구현



PINTOS

※ 목 차 ※

1. Project 2의 목적 및 目標(목표)
2. Project 2의 구현사양
3. Project 2의 상세 구현
4. 시연 결과물
5. 구현 소감
6. 참고 data(資料)
7. 경 로
1. Project 2의 목적 및 目標(목표)

1 ) 목 적
-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쓰레드의 동작 과정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2. Project 2의 구현사양

사용자 프...

PINTOS

※ 목 차 ※

1. Project 2의 목적 및 目標(목표)
2. Project 2의 구현사양
3. Project 2의 상세 구현
4. 시연 결과물
5. 구현 소감
6. 참고 data(資料)
7. 경 로
1. Project 2의 목적 및 目標(목표)

1 ) 목 적
-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쓰레드의 동작 과정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전체 12,78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ngot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