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06:32본문
Download : 광해군_2034176.hwp
다만, 역대 왕들 가운데 태종이 아우인 방석, 방번 등을, 세조가 조카인 단종을, 심지어 영조는 그 아들 사도세자를 죽이고도 패륜적인 ‘군’으로 강등되지 않았다. 형제를 따지기에 앞서 목숨이 걸린 문제였다. 바로 이 점이 광해군과 달랐을 …(skip)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광해군
광해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광해군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광해군_2034176.hwp( 41 )
광해군에 관련되어 설명(explanation)하고 있는 글입니다. 숙종 이전에는 노산군도 칭호에서 무언가 심히 잘못을 저지른 왕 또는 무도한 왕의 인식을 벗어나기 힘들었다. 그런데 광해군은 영창 대군이 태어난 뒤, 적자가 아니라는 약점 때문에 세자에게 쫓겨날 위기에 빠지게 되었다. 만약 그렇게 되면 죽을지도 몰랐다.광해군 , 광해군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다. 이는 무엇을 뜻하는가? 그들의 반인륜, 패륜적 행위는 죽은 뒤에도 정치 세력이 보호해 주었던 것이다. 대비의 교지는 자신에 대한 광해군의 패륜을 지적하는 것으로 처음 , 광해군에 대한 비난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렇듯 인목대비의 교지는 부모를 폐하고 형제를 죽이는 패륜행위, 대규모 토목공사를 일으켜 민생을 파탄시킨 실정, 임진왜란 때 은혜를 베푼 명에 대한 배신 등이 광해군 폐위의 주된 명분임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이 부분에 대상으로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 세 가지 비난은 과연 정당한 것일까?
그럼 먼저 ‘패륜 행위’를 살펴보자, 광해군이 친형과 이복동생을 죽이고, 인목대비를 궁궐에 가둔 행동은 분명히 도덕적으로 잘못이다. 이 점은 오늘날 우리가 광해군에 대해 가지는 선입견과 큰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닐까? 또 광해군을 폭정 사실이 두드러지는 연산군과 함께 다루는 것도 아무래도 어색하다.
조선 시대에 정변으로 왕위에서 쫓겨난 시호가 없는 왕은 광해군 말고도 연산군과, 그에 앞서 숙부인 세조에게 내쫓긴 노산군이 있다 그러나 노산군은 약 250년이 지난 숙종 때 그 억울함이 풀려 ‘단종’으로 복위됨으로써 왕으로서의 자리를 되찾았다. 그렇다면 광해군이 복위되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선조의 비 인목대비는 광해군 15년(1623) 3월 14일, 왕을 폐위해 광해군으로 삼는다는 내용의 교지를 발표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동생을 죽인 일을 잘 했다고는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