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배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5 01:28
본문
Download : 한국전쟁 배경.hwp
38선은
단순히 남과 북의 대립선만 은 아니었다. 이때 미군은 가장 가까운 부대가 한반도에서 6000마일 이상 떨어진 오키나와[沖繩]에 주둔
하여 한반도에 상륙하는 데 상당한 시일을 필요로 했으므로, 한반도 전체가 러시아군에 의해 장악
되는 것을 막기 위해 38˚선을 경계로 한 분할점령을 소련에 제의했다. 그리하여 북쪽 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진주, 각각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하고 항복을 받았으며 군정을 실시하였다.
그런데 1945년 8월에 미국과의 약속에 따라 대일전에 참가한 소련은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고 관동군을
격파하면서 남쪽으로 계속 진출, 8월 12일에는 청진(淸津)에 상륙하고 16일에는 원산(元山) 상륙작전을
벌였다. 김일성 대 이승만을 최첨병 으로 하여 모스크바 - 북경 -
평양으로 이어지는 사회주의 동맹과 워싱턴 - 동경…(투비컨티뉴드 )
교수님용완성[1]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전쟁 배경.hwp( 66 )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전쟁 배경
순서
다.
한국전쟁 배경교수님용완성[1] , 한국전쟁 배경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전쟁 배경
설명
한 국 전 쟁 배 경한 국 의 광 복 과 38 선38 선 의 긴 장 고 조2.한 국 전 쟁 발 발 과 휴 전 협 정◦발 발 원 인◦전 개◦휴 전 협 정3.한 국 전 쟁 이 후 의 상 황◦피 해 상 황◦남 · 북 한 사 회 · 경 제 적 변 화∙남 한∙북 한◦양 민 학 살◦이 산 가 족 문 제
1.한국전쟁 배경
◦한국의 광복과 38선
-삼팔선의 발생원인(原因)
북위 38˚선은 한반도의 중부를 횡단하는 선인데, 8·15 이전에는 이 선을 기준으로 북반부는 만주에
주둔한 일본의 관동군(關東軍) 사령관의 지휘 하에 있었고 남반부는 조선군사령관의 관할 아래 있었다. 이에 소련은 1개월 전 포츠담회담에서
미국·영국·소련 3국의 수뇌가 한국의 신탁통치 필요성(必要性)과 분할점령에 대해 인식을 같이했고, 또한
미국의 양해를 받아야 일본 훗카이도[北海道]의 일부를 쉽게 점령할 수 있었기 때문에, 미국의 제안에
동의, 이미 서울까지 진출해 있던 일부 소련군을 38˚선 이북으로 즉각 철수시켰다.
-국내 대립의 심화
1948년 남북 각 지역에 government 가 들어선 이후 남북한은 38선을 사이에 두고 격렬히 대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