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NGO 활동의 평가와 2001년의 projec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4 22:25본문
Download : 2000년 NGO 활동의 평가와 2001년의 과제.hwp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이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2000년 NGO 활동의 평가와 2001년의 과제.hwp( 35 )






다. 첫 장에서는 한국 NGOs 활동의 긍정적인 측면을 소개하여 그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려 한다. , 2000년 NGO 활동의 평가와 2001년의 과제인문사회레포트 ,
2000년 NGO 활동의 평가와 2001년의 project
1. 시민(市民)운동의 전환기가 되었던 2000년
2. 한국 NGOs의 가능성을 보여준 2000년
2.1. 총선시민(市民)연대활동
2.2. ASEM 2000 민간포럼:
2.3. SOFA 개정과 한국 NGO 운동
2.4. NGO 활동에 대한 학계와 언론매체의 관심 증대
2.5. 급속한 세대교체
3. 2000년 NGO활동의 한계와 문제가되는점
3.1. NGO의 사회적 effect(영향) 력 증대에 따른 견제/비판세력 등장
3.2. 장원교수 성폭행 사태에 대한 사회적 파장과 시민(市民)사회의 부적절한 反應(반응)
3.3. 시민(市民)사회의 조정자 역할 부재
4. 2001년 NGO활동의 課題
4.1. 시민(市民)운동 내부에서 표출되고 상존하는 이념적 다양성에 대한 정리(arrangement)
4.2. 국가, 시장, 시민(市民)사회와의 새로운 관계 정립
4.3. 시민(市民)운동의 정치참여
4.4. 시민(市民)운동의 인프라 구축
5. conclusion(결론)
사실 한국의 NGOs는 지난 10여 년간 세계 그 어느 곳에서도 유사 사례(instance)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괄목할만한 급성장을 이룩했고 사회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럼에도 이 장에서 거론되는 총선시민(市民)연대, ASE…(省略)
이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첫 장에서는 한국 NGOs 활동의 긍정적인 측면을 소개하여 그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려 한다. 두 번째 장은 부정적이었던 부분을 통해 그 한계가 어디에 있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 장에서는 2001년 NGOs가 당면한 미시적 문제와 결국 극복되어야만 할 project들을 설정하고 한국 NGOs의 가능성과 project에 대해 논해보려고 한다. 제3섹터적 접근, 신사회 운동적 접근, 조합주의적 접근, 정책적·연결망적 접근, 레짐理論적 접근 등을 발전시킨 理論이 부재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국가론적 접근을 통한 시민(市民)사회와 NGO에 대한 分析조차 전무한 실정이다.
물론 이런 과학적·추상적 分析을 통한 理論적 접근은 학자들의 몫으로 남겨두어야겠지만, 우선은 한국 NGOs에 대한 미시적이고 현상적인 分析만이라도 이뤄져야 할 것 같다. 연대활동 과정에 나타나는 문제가되는점 들, 즉 거대 NGO만 부각되고 군소 단체가 소외되는 운동 양식, NGO 사이의 주도권과 관련된 갈등, 참여 강도의 차이, 연대 활동의 지속성 등이 그것이다.
2. 한국 NGOs의 가능성을 보여준 2000년
2000년 NGOs 활동의 주목할만한 부분은 바로 왕성한 연대활동이었다. 한국의 NGO가 이렇듯 짧은 시간 내에 비약적 발전을 할 수 있었던 현상에 대해 다양한 해석과 理論적 접근이 가능하겠지만 아직 이렇다할 과학적 해석이 없는 상황이며, 사회과학적 理論으로 충분히 설명(說明)되어 지지 못하고 있따 이는 理論이 갖는 객관적 보편성이 한국이라는 주관적 특수성에 제대로 착근되지 못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고 동시에 한국 학자들의 게으름이나 직무유기의 결과라고도 해석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모든 NGOs 연대활동이 성공적이었던 것만은 아니었다. 두 번째 장은 부정적이었던 부분을 통해 그 한계가 어디에 있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 장에서는 2001년 NGOs가 당면한 미시적 문제와 결국 극복되어야만 할 과제들을 설정하고 한국 NGOs의 가능성과 과제에 대해 논해보려고 한다. 이미 1994년의 한 시사주간지의 설문조사에서 경실련이 가장 effect(영향) 력있는 집단으로 선정된 사실에서 잘 알 수 있듯이 한국 사회의 발전의 중심에는 항상 NGOs가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총선연대활동으로 처음 되고 SOFA 개정으로 대미를 장식한 2000년 한국의 시민(市民)운동을 나름대로 分析해 보고 2001년 내지 the twenty-first century의 한국 NGOs의 가능성을 짚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