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goto.kr [인문사회]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理論과 국어 통사 구조의 속성 / 1. 변형생성 문법의 통 > cangoto3 | cangoto.kr report

[인문사회]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理論과 국어 통사 구조의 속성 / 1. 변형생성 문법의 통 > cangoto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ngoto3

[인문사회]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理論과 국어 통사 구조의 속성 / 1. 변형생성 문법의 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8:53

본문




Download :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이론과 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hwp




이 원리는 초기 변형 문법에서부터 구절 구조 규칙이라는 이름으로 제안되어 많은 change(변화)를 거치면서 표준 이론(理論), 확대 표준 이론(理論) 등에도 들어 있었다. 그리하여 X, X`, X`(=XP)로 늘어나는 구 생성의 놀라운 일반화가 달성되었다.설명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이론과 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6187_01.gif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이론과 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6187_02_.gif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이론과 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6187_03_.gif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이론과 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6187_04_.gif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이론과 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6187_05_.gif
순서


인문사회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이론과 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 / 1. 변형생성 문법의 통

Download :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이론과 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hwp( 41 )





1. 변형생성 문법의 통사 理論과 국어 통사 구조의 속성 변형생성 문법의...

1. 변형생성 문법의 통사 이론(理論)과 국어 통사 구조의 特性(특성) 변형생성 문법의 통사이론(理論) - 핵 계층 이론(理論)을 중심으로 ㅇ 기저부의 핵 계층 이론(理論)(X-bar Theory)은 문장의 구조를 짜는 이론(理論)으로서 문장을 생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이다. 이 이론(理論)은 구절 구조 규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1970년대 초에 출발하여 1980년대 후반 Chomsky(1986나)에서 안정되었다. ㅇ 이 이론(理論)의 태동에는 어떤 범주에 또 다른 어떤 것이 통합되면 더 큰 단위로 늘어난다는 사실의 포착이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이 이론(理論)은 굴절 요소(INFL), 보문자(COMP)와 같은 기능 범주(Functional Category)들도 각각 I, I`, I` 및 C, C`, C`와 같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또한 각 구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요소들도 각각 교점을 차지할 수 있게 되어 모든 구에 대한 기술이 통일성 있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확대 표준 이론(理論) 이전까지의 변형생성 문법 이론(理論)에서 다소 소홀히 다루어졌던 굴...









1. 변형생성 문법의 통사 이론과 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 변형생성 문법의...
[인문사회] 변형생성문법의 통사 理論과 국어 통사 구조의 속성 / 1. 변형생성 문법의 통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그러나 1970년대에 싹튼 변항 X의 개념 확대와 구나 절의 일반적인 속성을 찾아 낸 1980년대 중반 이후에 엄청난 change(변화)를 거쳐 수정 확대 표준 이론(理論)에 이르면서 오늘날의 핵 계층 이론(理論)(X-bar Theory)으로 안착하였다. N, N`, N`(=NP)와 같이 확대되는 명사구의 속성이 동사구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그것도 V, V`, V`(=VP)와 같이 확대됨을 알게 되었고, 나아가 PP, ADVP 등 모든 어휘 범주의 구로의 투영이 이러한 원리의 지배를 받고 있음을 알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 이론(理論)의 가장 중요한 공적은 절이나 문장의 구조도 구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생성된다는 것을 밝혀 낸 점이라 할 수 있다.
전체 12,44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ngot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