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개정절차와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8 21:59
본문
Download :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개정절차와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비교.hwp
이것은 근본적으로는 ‘표기 규범’이라고 할 수 있지만 표기의 대상을 ‘표준말’로 하고 표준말은 ‘현재 중류사회의 서울말’로 규정함으로써 표준어에 대한 규범의 역할도 하게 되었다. !~ ,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개정절차와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비교인문사회레포트 ,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개정절차와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비교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개정절차와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비교.hwp( 88 )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개정절차를 살펴본 후, 『한글맞춤법』 체제를 『한글맞춤법 통일안』과 비교하여 요점했습니다. 이 규범은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1988년에 개정된 『한글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 규정』에서도 그 근간은 변하지 않았다. 그 결의에 따라서 권덕규, 김윤경, 이병기, 이윤재, 이희승, 장지영, 정인섭, 최현배 등 12인의 위원이 2년여의 심의를 한 결과 1932년 12월에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원안이 작성되었고, 다시 김선기, 이탁 등 6인의 위원이 증선되어 모두 18인의 위원이 원안을 축조, 토의하여 제 1독회를 마쳤으며, 그 내용을 권덕규, 김선기, 김윤경, 이희승, 이윤재, 장지영, 최현배 등 10인이 검토하여 약 6개월 후 제 2독회를 마쳤다. 권덕규, 김선기, 이희승, 이윤재, 최현배 등 정리(arrangement)위원 9인이 그 결과를 전체적으로 정리(arrangement)하여 그 해, 곧 1933년 10월 19일 임시 총회를 거쳐 확정했고, 그 해 10월 29일에 단행본으로 …(To be continued )
다. 레포트(report) 잘 제출하시고, 좋은 성적 거두시길 바랍니다. 표준어는 구어와 문어를 다 포괄하지만 실제로 구어라 하더라도 그것을 보급하기 위해서는 문자가 필요하고 이 문자의 표준화는 표준어의 성립과 보급을 위한 전제이다. . 총독부에 의해 ‘보통 학교용 언문 철자법’이란 맞춤법 규정에서 표기의 대상을 ‘경성어(서울말)’로 한 것은 이후의 규정에서도 그대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물론 표준어와 관련된 정책이 없었던 것은 아닐것이다.
순서
설명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개정절차를 살펴본 후, 『한글맞춤법』 체제를 『한글맞춤법 통일안』과 비교하여 정리했습니다.
Ⅱ.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제정
『한글맞춤법 통일안』은 1930년 12월 13일, 현 ‘한글학회’의 전신인 ‘조선어 학회’ 본회 총회의 결의로 만들게 된 것이다. 많은 활용이 되시길 바랍니다. 민간인에 의한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은 1933년의 『한글맞춤법 통일안』이다. !~
Ⅰ. 서론
Ⅱ.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제정
Ⅲ.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개정절차
Ⅳ. 『한글맞춤법』과 『한글맞춤법통일안』의 비교
Ⅴ. 결론
우리 나라에서도 표준어와 관련해서 문자의 정비가 시급했던 개화기 무렵에는 ‘국문연구소’라는 국가 기관을 설립해서 이 문제를 논의했다. 레포트 잘 제출하시고, 좋은 성적 거두시길 바랍니다.
이러한 government 의 노력은 식민지화의 길로 들어서면서 좌절되었지만 민간인에 의한 노력은 계속되었다. 많은 활용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