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복선언(마 5:3-12)의 형성사적 고찰(속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8 22:35
본문
Download : 축복선언(마 53-12)의 형성사적 고찰(속편).hwp
그러나 U. Luz, I., S.252,는 구전 전승에서 마태가 비교적 자유롭게 작성한 것으로 본다. 첫 번째 살인에 관한 대립명제와 5번째 보복금지에 관한 대립명제에서도 평화에 관한 사상이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다 첫 번째 살인에 관한 대립명제에서 소극적인 명제 다음에 화해에 관한 적극적인 말씀들이 뒤따른다. 첫 번째 살인에 관한 대립명제와 5번째 보복금지에 관한 대... , 축복선언(마 5:3-12)의 형성사적 고찰(속편)인문사회레포트 ,
6번째 원수사랑에 관한 대립명제서만 평화에 관한 사상이 도출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첫 번째 살인에 관한 대립명제와 5번째 보복금지에 관한 대...
순서
다. 이중에서 ‘화해를 먼저하고 그리고 제물을 드리라’는 말씀은 마태의 특별reference(자료) 그러나 G. Strecker, Bergpredigt, S.66,는 이것을 QMt의 reference(자료)로 본다. 여기에서 화해가 기독인의 assignment로 언급된다 참조. G. Strecker, Makarismen, S.267.
. 이 화해에 대한 요구는 원수사랑의 빛에서 평화를 이루는 자에 대한 축복선언(과 긍휼히 여기는 자에 대한 축복선언)을 구체화하는 것처럼 보인다 G. St…(skip)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6번째 원수사랑에 관한 대립명제서만 평화에 관한 사상이 도출될 수 있는 것은 아닐것이다.
포괄적인 사랑의 의미 안에서 해석되어야 할 23-25절의 말씀들은 대립명제가 소극적으로 표현한 것을 적극적으로 진술한다 참조. a.a.O., S.259.
: 형제에 대한 나쁜 말을 피하라에서 사랑의 계명에 따라 나아가서 화해하라. 인상적인 것은 화해를 먼저하고 그리고 제물을 드리라는 마태의 특별reference(자료)이다.
(마 5,23-24절)에 속하고, ‘길에서 너희 적과 사화 하라’는 말씀은 Qreference(자료)(마 5,25-26: 눅 12,57-59)에 해당한다.
Download : 축복선언(마 53-12)의 형성사적 고찰(속편).hwp( 21 )
%EC%9D%98%20%ED%98%95%EC%84%B1%EC%82%AC%EC%A0%81%20%EA%B3%A0%EC%B0%B0(%EC%86%8D%ED%8E%B8)_hwp_01.gif)
%EC%9D%98%20%ED%98%95%EC%84%B1%EC%82%AC%EC%A0%81%20%EA%B3%A0%EC%B0%B0(%EC%86%8D%ED%8E%B8)_hwp_02.gif)
%EC%9D%98%20%ED%98%95%EC%84%B1%EC%82%AC%EC%A0%81%20%EA%B3%A0%EC%B0%B0(%EC%86%8D%ED%8E%B8)_hwp_03.gif)
%EC%9D%98%20%ED%98%95%EC%84%B1%EC%82%AC%EC%A0%81%20%EA%B3%A0%EC%B0%B0(%EC%86%8D%ED%8E%B8)_hwp_04.gif)
%EC%9D%98%20%ED%98%95%EC%84%B1%EC%82%AC%EC%A0%81%20%EA%B3%A0%EC%B0%B0(%EC%86%8D%ED%8E%B8)_hwp_05.gif)
%EC%9D%98%20%ED%98%95%EC%84%B1%EC%82%AC%EC%A0%81%20%EA%B3%A0%EC%B0%B0(%EC%86%8D%ED%8E%B8)_hwp_06.gif)
축복선언(마 5:3-12)의 형성사적 고찰(속편)
레포트/인문사회
6번째 원수사랑에 관한 대립명제서만 평화에 관한 사상이 도출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전자는 마태가 구전전승에서 나온 것을 비교적 자유롭게 작성한 것이고 참조. U.Luz, I., S.252.
, 후자는 그가 Q의 다른 곳에서 이곳에다가 옮겨온 것이다 참조. U. Luz, a.a.O., S.251.
. 이때에 마태는 표제어 ἀντίδικος를 통하여 원수사랑의 주제 하에 있는 마지막 대립명제를 미리 바라보도록 열어놓는다 참조. U. Luz, I., S.260.
. 그리하여 첫 전체 대립명제는 원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사랑의 의미에서 해석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