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추간판 탈출증) instance(사례)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10:00
본문
Download :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사례연구.hwp
^^디스크_서론 ,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사례연구의약보건레포트 ,
다.^^
%20%EC%82%AC%EB%A1%80%EC%97%B0%EA%B5%AC_hwp_01.gif)
%20%EC%82%AC%EB%A1%80%EC%97%B0%EA%B5%AC_hwp_02.gif)
%20%EC%82%AC%EB%A1%80%EC%97%B0%EA%B5%AC_hwp_03.gif)
%20%EC%82%AC%EB%A1%80%EC%97%B0%EA%B5%AC_hwp_04.gif)
%20%EC%82%AC%EB%A1%80%EC%97%B0%EA%B5%AC_hwp_05.gif)
%20%EC%82%AC%EB%A1%80%EC%97%B0%EA%B5%AC_hwp_06.gif)
,의약보건,레포트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디스크_서론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instance(사례)연구
Download :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사례연구.hwp( 20 )
신경외과 실습시에 디스크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를 사정하는 양식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고 병태생리에 대해서 그림을 많이 첨부하여 더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으면 통증을 감소시키는 교육자료도 첨부되어있습니다. A+받은 레포트 입니다. 심한 경우에는 발뒤꿈치로 서기, 발끝으로 서기 등이 …(생략(省略))
신경외과 실습시에 디스크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를 사정하는 양식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고 병태생리에 대해서 그림을 많이 첨부하여 더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으면 통증을 감소시키는 교육reference(자료)도 첨부되어있습니다. A+받은 리포트 입니다.
⑦ 근력검사 : 대개 슬관절 신전근, 엄지발가락 신전과 굴곡를 검사 하는데 반드시 건측과 비교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2.신경학적 증상들이 특이적이다.
ex) 해당 신경근 영역에 감각 저하
3.현저한 하지 직거상 검사 alteration(변화)
①하지 직거상 검사(SLRT, straight leg raising test)
②활시위 징후(bowstring sign)
③반측 하지 직거상 검사(Crossed Straight Leg Raising Test)
->3개 중 1개 또는 복합적으로 나타나야 함.
4.신경학적 징후(sign)
①근력 약화(weakness)
②근육 소모(wasting)
③감각 소실(semsory loss)
④반사 alteration(변화) (reflex change)
->적어도 2개 이상 나타나야 함.
A. 이학적 진단
① 하지 직거상 검사 (SLR Test, Straight Leg Raising Test) 90도/50도
발꿈치를 잡고 다리를 뻗은 상태에서 서서히 통증이 생기는 지점까지 올린다.
• 70도 이내 통증: 양성 제 5요추, 제 1천추 신경근의 긴장
② 활시위 징후 (Bowstring sign) (+)
통증이 생길 때까지 다리를 올린 후 무릎을 굽히면 통증이 소실된다 손가락으로 무릎 뒤 좌골신경을 누르면 통증 유발
③ 반측 하지 직거상 검사(Crossed Straight Leg Raising Test) (+)
정상하지 거상시 이환하지에 통증이 초래
추간판 탈출이 중앙부로 돌출되거나 부골화된 추간판의 유리편 의미
④ 대퇴신경 신장 검사
엎드린 상태에서 슬관절을 90도로 굽혀 들면 허리나 대퇴부에 통증- 제 3혹은 4신경 근압박
⑤ 방광 내압 측정(測定) 및 요로 측정(測定) 술
배뇨 혹은 방광마비, 항문 괄약근의 근력 약화
⑥ 척추외관검사 : 환자 뒤에서 척추의 편위. 굴곡시 굴곡 정도, 척추의 회전을 觀察한다. ◈ 서 론 ◈
■ 事例연구의 necessity
Ⅰ. 일반적 사항
Ⅱ. 입원 상태
Ⅲ. 현재 건강력 사정
Ⅳ. 신체검진
▶ 부위별 신체 검진 ◀
▶ 활력징후 ◀
▶ 의식상태 사정 ◀
Ⅴ. 특수검사지 & 경과기록지 & Operation
Ⅶ. 진단검사
Ⅷ. 투 약
◈ 본 론 ◈
Ⅰ. 요추 (Lumbar Vertebrae)
2. 定義(정의)
3. 종류
4. Cause
4. 증상
5. 검사소견 및 진단
A. 이학적 진단
B. 방사선 검사
6. 치료
◈ 결 론 ◈
◈ Reference◈
♡교육data(資料)♡
5. 검사소견 및 진단
1.하부요통보다 하지 통증이 더 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