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계약 체결시 금지규정 및 진실고지 위반시의 효과(效果) 에 대한 판례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03:16
본문
Download : 근로계약 체결시 금지규정 및 진실고지 위반시의 효과에 대한 판례 검토.hwp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근로계약 체결시 금지규정 및 진실고지 위반시의 효과(效果) 에 대한 판례 검토
근로계약,체결시,금지규정,진실고지,위반시,효과,판례,검토,법학행정,레포트
설명
근로계약 체결시 금지규정 및 진실고지 위반시의 效果(효과)에 대한 판례 검토
1. 근로계약 체결 시 금지규정
1) 위약예definition 금지, 신원보증계약
“근기법 제20조는 사용자가 근로자와의 사이에서 근로계약 불이행에 대한 위약금 또는 손해배상액을 예정하는 계약의 체결을 금지하는데 그치는 것이므로, 근로자에 대한 신원보증계약은 이에 해당되지 아니한다.”
“신원보증법에 의하면 근로자가 업무상 부적임하거나 불성실한 사정이 있어 이로 말미암아 신원보증인의 책임을 야기할 염려가 있을 때에는 사용자는 지체없이 이를 신원보증인에게 통지하여야 하고, 신원보증인은 이와 같은 통지를 받은 때에는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 바(제4조 제1호, 5조), 비록 사용자에게 신원보증법 제4조 소definition 통지의무가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그 통지를 하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곧바로 신원보증인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신원보증인과 피보증인의 관계가 그러한 통지를 받았더라면 신원보증계약을 해지하였을 것이라는 특수한 사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지하지 아니하여 신원보증인으로부터 계약해지의 기회를 박탈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경우에는 신원보증인의 책임이 부정된다고 할 것이다.”
2) 연수비 반환 약정
“근기법 제20조는 사용자가 근로자와의 사이에 근로계약 불이행에 대한 위약금 또는 손해배상액을 예정하는 계약을 금지하는데 그치는 것이므로 근로자에 대한 신원보증계약은 이에 해당되지 아니한다.”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기술습득을 위하여 실시하는 해외파견훈련비를 대여하고 이를 상환할 의무가 있는 근로자가 그 상환방법으로 약정기간동안 사용자에게 근무하면 그 상환의무를 면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엔 그 전부 또는 …(drop)
Download : 근로계약 체결시 금지규정 및 진실고지 위반시의 효과에 대한 판례 검토.hwp( 70 )


근로계약 체결시 금지규정 및 진실고지 위반시의 효과 에 대한 판례 검토 , 근로계약 체결시 금지규정 및 진실고지 위반시의 효과 에 대한 판례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근로계약 체결시 금지규정 진실고지 위반시 효과 판례 검토
근로계약 체결시 금지규정 및 진실고지 위반시의 효과(效果) 에 대한 판례 검토
다.
또한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퇴직금을 지급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용자와 근로자의 신원보증인과 사이의 신원보증계약은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의 근로관계가 퇴직금의 지급 후에도 계속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당연히 해지되어 효력을 상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