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따돌림에 대한 事例관리실천의 개입 및 결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05:23
본문
Download : 집단따돌림에 대한 사례관리실천의 개입 및 효과.hwp
23`그러나, 학교현장에서는 ‘왕따’ ‘집단따돌림’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학교현장과의 연계과정에서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집단따돌림’의 용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집단따돌림’은 그 형태 면에서 사회적 관계의 소외와, 언어적, 신체적 폭력으로 연결된다 따돌림의 유형은 약점을 들추어 비난하기, 장난을 빙자하여 괴롭히기, 듣기 싫은 별명과 조롱을 하기, 각종 활동에 끼워주지 않기, 대화거부하기, 바보로 만들기, 금품 갈취, 소지품 훼…(省略)
다.
,인문사회,레포트
집단따돌림에 대한 事例관리실천의 개입 및 결과
순서
Ⅰ. 문제제기
Ⅱ. 연구목적 및 방법
Ⅲ. 프로그램(program]) 개발의 준거
Ⅳ. 프로그램(program]) 의 제시
Ⅴ. 프로그램(program]) 실천개입 및 결과
Ⅵ. 분석 및 평가
Ⅶ. 맺음말
Ⅲ. 프로그램(program]) 개발의 준거0
1. 집단따돌림의 definition 및 발생요인에 대한 理論(이론)적 고찰
1) 집단따돌림의 definition 및 유형
집단따돌림을 지칭하는 용어로, 스칸디나비아에서는 ‘mobbing’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폭력에 개입된 익명의 다수를 가리키고 있다 호주나 영국에서는 ‘bullying`이라고 하며, 이에 대한 definition 로 Rigby는 ’보다 많은 힘을 가진 개인 혹은 집단이 보다 적은 힘을 가진 개인을 심리적 혹은 신체적으로 반복적으로 억압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Smith와 Sharp(1994)는 ‘힘의 체계적 남용’으로 규정하고 있다 Olweus(1993)는 ‘bullying`을 또래간에 벌어지는 싸움(fighting)과 구분하여,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가해학생과 피해학생간의 불균형적인 힘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집단따돌림’ ‘집단괴롭힘’ ‘왕따’의 현상을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 그러나, ‘왕따’는 그 어원적 출발이 은어라는 점에서 학술적 definition 으로 부적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대를 배척 소외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갖는다. 이에 집단따돌림을 ‘개인 또는 집단이 자기보다 힘이 약한 특정인(혹은 특정 집단)에게 심리적 언어적 신체적인 공격을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가함으로써,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행위’로 definition 하고자 한다. 또한 ‘왕따’나 ‘집단따돌림’은 따돌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괴롭히는 행위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집단괴롭힘’이란 용어가 의미상 적절하다. 집단따돌림에대한사례관리실천의개입및효과 , 집단따돌림에 대한 사례관리실천의 개입 및 효과인문사회레포트 ,






집단따돌림에대한事例관리실천의개입및결과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집단따돌림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事例관리실천을 들고 그 개입과 결과 를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Download : 집단따돌림에 대한 사례관리실천의 개입 및 효과.hwp( 13 )
집단따돌림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사례관리실천을 들고 그 개입과 효과를 기술한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