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goto.kr 인간의 본성 문제 > cangoto5 | cangoto.kr report

인간의 본성 문제 > cangoto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ngoto5

인간의 본성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04:11

본문




Download : 인간의 본성 문제.hwp





중국철학과인성론완성


인간의 본성 문제
순서

Download : 인간의 본성 문제.hwp( 49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 중국(中國) 철학과 인성론

중국(中國) 철학에서 사람의 본성에 대해 언급되기 처음 한 것은 은·주 교체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인간은 동물과는 구별되는 ‘유(類)’로서의 본질을 가지며, 같은 ‘유’안에서는 그가 어리석은 인간이든 성인이든 천부적 본성은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논어』에서 ‘상지(上知)’와 ‘하우(下愚)’에 관한 언급이라든가, ‘생이지지자(生而知之者)’와 ‘학이지지자(學而知之者)’등의 구분에서는 그의 성상근론이 철저하게 관철되지는 않는다. 『상서』에 보면 인성에 관한 단편적인 내용들이 있는데 아직 본격적인 논의의 단계에 이르지는 못했다. 아무래도 인성론의 본격적인 처음 은 공자로부터 잡는 것이 옳을 듯하다. 공자에서 맹자에 이르는 100여 년 동안 인성론은 본격적인 발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맹자 시대에 오면 고자의 ‘성무선무불선론(性無善無不善論)’을 위시하여 ‘성가이위선가이위불선론(性可以爲善可以爲不善論)’ ‘유성선유성불선론(有性善有性不善論)’의 세 이론(理論)과 이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맹자의 ‘성선론’과 여기에 뒤이은 순자의 ‘성악론’이 선진 시대의 대표적인 인성론으로 거론된다
…(省略)
인간의 본성 문제



레포트/인문사회




인간의 본성 문제중국철학과인성론완성 , 인간의 본성 문제인문사회레포트 ,
인간의%20본성%20문제_hwp_01.gif 인간의%20본성%20문제_hwp_02.gif 인간의%20본성%20문제_hwp_03.gif 인간의%20본성%20문제_hwp_04.gif 인간의%20본성%20문제_hwp_05.gif 인간의%20본성%20문제_hwp_06.gif



다. 그러나 공자의 제자 자공이 “부자께서 (사람의) 본성과 천도를 말씀하신 것은 듣지 못하였다”고 말했듯 아직 인간 본성의 문제에 관해 본격적으로 관심이 미치지는 못했다고 볼 수 있다 흔히 공자가 『논어』「양화」편에서 “(타고난) 본성은 서로 비슷하나 (후천적인) 노력에 따라 서로 차이가 생겨났다(性相近也, 習相遠也)”고 말한 것을 인성론의 본격적인 처음 으로 잡기도 하는데, 이는 엄밀히 짚어 보면 ‘후천적인 노력’이 가능한 근거로 ‘성상근’을 제기된 것이다. 후대의 많은 학자들이 공자의 ‘성상근’에 대한 자기 나름의 이해와 해석을 통해 자기 사상의 발원처로 삼았기 때문일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성상근론이 가지는 적극적인 의미는 원시적인 철학적 평등관의 맹아가 보인다는 점이다. 그러나 공자의 본의와 상관없이 성상근론은 인성론사에 하나의 출발로서 위치가 확고하다.
전체 12,72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ngot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