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락과 경혈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5 20:41본문
Download : 경락과 경혈에 대하여.hwp
“경혈과 경락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논문을 최초로 발표한 사람은 김봉한이라는 북한 학자입니다. 그러나 연구 방법을 밝히지 않아 여러 나라에서 많은 학자가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어요. 우리 연구팀은 그의 논문을 참고해 경혈과 경락의 존재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경락은 병리변화를 반영하는 작용이 있다 이말은 오장육부등 내장의 어느 장기에 병이 생겼을 때는 해당 경락의 일정한 부분에 병이 생겼다는 것이 비친다는 것이다.
경락, 즉 경맥과 낙맥은 인체 생명활동의 원동력이 되는 기가 돌아다니는 즉, 흐르는 통로가 되고 있으며 또 기는 혈 즉, 피를 끌고 다닌다.
3)병리변화를 반영한다.
4. 과학적 근거
서울대 물리학과 소광섭 교수의 한의학물리연구실.
문을 열고 들어서자 소 교수는 곧바로 “이게 경혈과 경락으로 추측되는 조직입니다”라며 현미경 사진을 보여준다. 봉오리 너비는 0.5∼1mm, 관의 지름은 머리카락 절반 두께인 5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다.
경락은 자극을 멀리까지 전달해주는 전도작용이 있다 그래서 얼굴의 병도 손발에서, 오장육부의 내장병도 손발에서 치료가 되는 것이며 이것은 경락의 자극 전도작용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바로 이 일정한 부위를 reaction response점이라고 하는데 이 reaction response점은 진찰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또 이곳에 자극을 주면 그 자극이 해당 장부에 까지 전해져 치료가 되기 때문에 치료점이 되기도 한다.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다.경락과경혈 , 경락과 경혈에 대하여공학기술레포트 ,
경락과 경혈에 대한 글입니다.
2)자극을 전도한다.
경락과경혈
3. 경락의 삼대 작용
1)기혈을 운행시킨다. 고로 기의 운행이 원활치 못하면 피의 흐름에도 이상이 생겨 몸의 병이 생기는 것이다. 기존의 해부학에 따르면 혈…(drop)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경락과 경혈에 대하여.hwp( 22 )
경락과 경혈에 대하여






순서
경락과 경혈에 대한 글입니다.”
논문의 key point(핵심) 은 기존에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조직이 존재한다는 점. ‘봉한학설’에 따르면 온몸 곳곳에 경혈(봉한소체)과 경락(봉한관)이 그물망을 이루며 연결돼 있다 연구팀은 흰쥐의 혈관 내부를 우선적인 타깃으로 삼았다. 흰쥐의 붉은 생체조직을 배경으로 하얀색의 조그만 봉오리 모양과 가느다란 관이 선명하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