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goto.kr `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 > cangoto5 | cangoto.kr report

`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 > cangoto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ngoto5

`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15:44

본문




Download : `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hwp




논자께서 인용문을 통해 지적한 ‘무자화두 십종병’을 학자의 입장에서 보면 논리적인 면으로 보일지 모른다. 어쨋든 위의 구자무불성화의 10가지 병통은 ‘장심대오’[열번째, 부득작존심대파]라고 뭉뚱그릴 수 있다고 종문에서는 알려져 있다 남송시절에 이미 묵조선과의 논쟁에서 간화선을 ‘대오선’이라고 공격받은 것이 이를 증명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drop)


간화선은 본래 송대에서 유행하여 졌는데, 당대까지만 하더라도 화두를 들고 수행한다던가 하는 일은 그다지 주류를 형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야 할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hwp( 67 )




`금강경`과%20선종의%20공안%20-%20그%20구조를%20중심으로_hwp_01.gif `금강경`과%20선종의%20공안%20-%20그%20구조를%20중심으로_hwp_02.gif `금강경`과%20선종의%20공안%20-%20그%20구조를%20중심으로_hwp_03.gif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간화선은 본래 송대에서 유행하여 졌는데, 당대까지만 하더라도 화두를 들고 수행한다던가 하는 일은 그다지 주류를 형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야 할 ... , `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금강경`과 선종의 공안 - 그 구조를 중심으로
순서

간화선은 본래 송대에서 유행하여 졌는데, 당대까지만 하더라도 화두를 들고 수행한다던가 하는 일은 그다지 주류를 형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말후일구 즉 활구를 투득하기 위해 정진하는 선원의 본참학인의 입장으로 본다면 10가지 병통이란 무자화두를 투득하기 위한 좋은 길잡이 역할을 하는 것이지 논리적인 카테고리라고 할 수는 없으리라. 예컨데 학인의 마음가짐에 1. 대신근 2. 대의단 3. 대분지는 필수적인 조건이 된다 여기에 어떤 선지식은 4. 대서원을 강조하신 분도 계신다. 논자가 지적하신 것처럼 오조법연과 그의 상족 원오극근을 거쳐 대혜종고에 이르러 간화선의 전통이 확립된 것이 정설이 되어 왔다.
전체 12,72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ngot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