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과 이방원과 왕자의 난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12:23본문
Download : 정도전과 이방원과 왕자의 난에 대해.hwp
태조가 물러난 것은 자의보다는 타의에 의한 면이 짙다.
1399년 한양의 지형에 문제가 있다하여 수도를 다시 개경으로 옮겨갔으며 같은 해 8월 분경금지법을 제정, 관인이 왕족과 외척들에게 의존하는 것을 금지하여 권력을 가진 귀족들의 힘을 약화 시켰다. 이미 조정은 방원의 세력이 포진해 있었고, 태조는 와병 중이어서 어떻게 해 볼 도리가 없었다.
방원의 양보로 즉위한, 정종이 비록 왕좌에 있긴 했으나 권력이 방원의 손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정종조 때의 정치는 거의 정안군 방원의 뜻에 따라 진행되었다. 세자 책봉 문제가 제기되었을 때도 그는 세자되기를 극구 사양했다.
영안군 방과는 원래 왕위에 뜻이 없었다. 그러나 방원의 양보와 권유로 세자로 책봉되었고, 1개월 후에 태조가 물러나면서 왕위에 올랐다. 정종의 등극과 퇴위
‘왕자의 난’으로 방석과 방번 형제가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들은 태조는 그 다음달인 1398년 9월 둘째 아들 방과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상왕으로 물러났고, 방과는 동생 방원의 뜻에 따라 조선의 제 2대 왕으로 등극했다. 그후 제 ‘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방원을 세제(왕위계승자로 결정된 동생을 일컬음)로 책봉하였고, 그해에 왕족 및 권력가들의 사병을…(To be continued )
레포트/기타
‘왕자의 난’으로 방석과 방번 형제가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들은 태조는 그 다음달인 1398년 9월 둘째 아들 방과에게 왕...
순서






설명
정도전과 이방원과 왕자의 난에 대해
Download : 정도전과 이방원과 왕자의 난에 대해.hwp( 34 )
,기타,레포트
정종의 등극과 퇴위 ‘왕자의 난’으로 방석과 방번 형제가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들은 태조는 그 다음달인 1398년 9월 둘째 아들 방과에게 왕... , 정도전과 이방원과 왕자의 난에 대해기타레포트 ,
정종의 등극과 퇴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