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에 대상으로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04:47
본문
Download : 불상에 대해서.hwp
부처의 광명과 자비는 시공을 초월하여 무한한 세계까지 미치고 있으며 이 광명을
받은 자는 일체의 고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한다.
자비와 지혜의 2덕을 겸비하고 도를 깨달아 널리 중생을 제도한 불교의 祖이다.
大日如來(비로자나불):범어 Mahavairocana이며 마하비로자나여래라고 음역하며
대광명편조(大光明遍照)라고 의역된다된다.
설명
,생활전문,레포트
Download : 불상에 대해서.hwp( 30 )
불상에 대상으로하여
순서
뜻은 진리에 도달한 ...






1. 佛 : 범어 Buddha(佛陀)의 약칭이다.
레포트/생활전문
다.
약사여래(藥師如來): 동방유리광세계의 교주이며 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고 한다.
*샤가무니 :샤가족 출신의 성자라는 뜻이다. 중생의 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하고 재화를 소멸하고 의복,음식을 만족케 하려는 12대원(大願)을 세웠고, 이러한 12대원에 따라서 12신장(神將)을 거느린다.
또한 如來(Tathagata)라고도 한다. 뜻은 진리에 도달한 ... , 불상에 대해서생활전문레포트 ,
또한 如來(Tathagata)라고도 한다. 설법인(說法印), 미타 정인(彌陀定印), 아미타 구품인(九品印)등 수인을 취한다.
전 우주 어디나 빛을 비치는 부처로서 석가여래는 그의 분신이라 한다.
뜻은 진리에 도달한 사람 또는 깨달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동시에 소승교에서의 절대적인 부처이다. 48원을 세워 중생을 구제 한다고
하며 <나무아미타불>을 외면 그 광명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 무량광여래(無量光如來) 또는 무량수여래(無量壽如來)라고 의역한다.
이 세상에 인간으로 태어나서 인간생활을 하다가 부처가 된 분이므로
응신불(應身佛)이라고도 한다. 또한 如來(Tathagata)라고도 한다.
석가모니(應身佛) :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불로서, 곧 샤가무니(Sakyamuni)를 지칭한다.
1. 佛 : 범어 Buddha(佛陀)의 약칭이다. 보통
지권인(智拳印)을 많이 결하며 때로는 영락,관, 팔지, 천의를 입은 보살형으로
나타나는 수도 많다. 이는 12지상(支像)과의
연관…(생략(省略))
1. 佛 : 범어 Buddha(佛陀)의 약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