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理論] 민주적, 인본주의적, 행동주의적 부모교육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18:13본문
Download : [부모교육이론] 민주적, 인본주의적, 행동주의적 부모교육이론.hwp
부모교육理論(이론)은 주로 자녀양육과 관련된 내용으로 채워진다.
따라서 엄격한 의미에서 보면 부모교육理論(이론)이라기보다는 자녀양육理論(이론) 또는 자
녀지도 理論(이론)이라...
[부모교육理論(이론)] 민주적, 인본주의적, 행동주의적 부모교육理論(이론)
목차
Ⅰ. 민주적 부모교육 理論(이론)
1. 기본가정 및 goal(목표)
2. 기본원리
1) 잘못된 행동goal(목표)
2) 격려
3) 자연적, 논리적 결과
Ⅱ. 인본주의적 부모교육理論(이론)
1. goal(목표)
2. 기본원리
1) 자녀와의 대화
2) 아동의 행동지도
3) 부모의 잘못된 태도
4) 훈육방법
Ⅲ. 행동주의적 부모교육理論(이론)
1. goal(목표)
2. 기본원리
3. 행동수definition 기법
1)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
2)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
*bibliography
*부모교육理論(이론)
20세기 중반 이래로 부모교육에 대한 많은 理論(이론)이 개발되었으나, 다음에서는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고 실제적 적용 가능성이 높은 理論(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理論(이론)에 의하면, 전통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는 권위주의적이고 독재적이어서 아동과 성인은 다른 위치에
있으며, 아동은 성인에게 복종해야 한다는 사고가 지배적이었으나, 오늘날은 과
거와 달리 평등사회로 변했기 때문에 아동과 성인 간에 새로운 관계가 정립되어
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부모가 alteration(변화) 되어야 하는데, 그러…(생략(省略))
[부모교육이론] 민주적, 인본주의적, 행동주의적 부모교육이론 , [부모교육이론] 민주적, 인본주의적, 행동주의적 부모교육이론사범교육레포트 , [부모교육이론] 민주적 인본주의적 행동주의적 부모교육이론
[부모교육이론],민주적,인본주의적,행동주의적,부모교육이론,사범교육,레포트
[부모교육理論] 민주적, 인본주의적, 행동주의적 부모교육理論
Download : [부모교육이론] 민주적, 인본주의적, 행동주의적 부모교육이론.hwp( 11 )
설명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다.
[부모교육理論] 민주적, 인본주의적, 행동주의적 부모교육理論
![[부모교육이론]%20민주적,%20인본주의적,%20행동주의적%20부모교육이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5D%20%EB%AF%BC%EC%A3%BC%EC%A0%81,%20%EC%9D%B8%EB%B3%B8%EC%A3%BC%EC%9D%98%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A0%81%20%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_hwp_01.gif)
![[부모교육이론]%20민주적,%20인본주의적,%20행동주의적%20부모교육이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5D%20%EB%AF%BC%EC%A3%BC%EC%A0%81,%20%EC%9D%B8%EB%B3%B8%EC%A3%BC%EC%9D%98%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A0%81%20%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_hwp_02.gif)
![[부모교육이론]%20민주적,%20인본주의적,%20행동주의적%20부모교육이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5D%20%EB%AF%BC%EC%A3%BC%EC%A0%81,%20%EC%9D%B8%EB%B3%B8%EC%A3%BC%EC%9D%98%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A0%81%20%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_hwp_03.gif)
![[부모교육이론]%20민주적,%20인본주의적,%20행동주의적%20부모교육이론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5D%20%EB%AF%BC%EC%A3%BC%EC%A0%81,%20%EC%9D%B8%EB%B3%B8%EC%A3%BC%EC%9D%98%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A0%81%20%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_hwp_04.gif)
![[부모교육이론]%20민주적,%20인본주의적,%20행동주의적%20부모교육이론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5D%20%EB%AF%BC%EC%A3%BC%EC%A0%81,%20%EC%9D%B8%EB%B3%B8%EC%A3%BC%EC%9D%98%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A0%81%20%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_hwp_05.gif)
![[부모교육이론]%20민주적,%20인본주의적,%20행동주의적%20부모교육이론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5D%20%EB%AF%BC%EC%A3%BC%EC%A0%81,%20%EC%9D%B8%EB%B3%B8%EC%A3%BC%EC%9D%98%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A0%81%20%EB%B6%80%EB%AA%A8%EA%B5%90%EC%9C%A1%EC%9D%B4%EB%A1%A0_hwp_06.gif)
[부모교육理論(이론)] 민주적, 인본주의적, 행동주의적 부모교육理論(이론)
목차
Ⅰ. 민주적 부모교육 理論(이론)
1. 기본가정 및 goal(목표)
2. 기본원리
1) 잘못된 행동goal(목표)
2) 격려
3) 자연적, 논리적 결과
Ⅱ. 인본주의적 부모교육理論(이론)
1. goal(목표)
2. 기본원리
1) 자녀와의 대화
2) 아동의 행동지도
3) 부모의 잘못된 태도
4) 훈육방법
Ⅲ. 행동주의적 부모교육理論(이론)
1. goal(목표)
2. 기본원리
3. 행동수definition 기법
1)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
2)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
bibliography
부모교육理論(이론)
20세기 중반 이래로 부모교육에 대한 많은 理論(이론)이 개발되었으나, 다음에서는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고 실제적 적용 가능성이 높은 理論(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부모교육의 goal(목표) 가 부모로
하여금 자녀를 이해하고 돕고 지도하는 데에 필요한 지식, 태도 및 기술을 습득
하도록 돕는 데 있고, 일반적으로 부모교육理論(이론)이라는 용어가 선호되고 있기 때
문에 혼란을 줄이고자 여기서도 부모교육理論(이론)이라 부르기로 한다.
I, 민주적 부모교육理論(이론)
민주적 부모교육理論(이론)은 Rudolf Dreikurs가 Alfred Ad1er(1870 ~ 1937)의 개인
심리학理論(이론)을 부모교육에 적용하여 발전시킨 것으로 부모-자녀 간의 평등한 관
계에 기초한 민주적 자녀양육의 원리를 강조한다.
따라서 엄격한 의미에서 보면 부모교육理論(이론)이라기보다는 자녀양육理論(이론) 또는 자
녀지도 理論(이론)이라고 칭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 부모교육理論(이론)은 주로 자녀양육과 관련된 내용으로 채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