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goto.kr 제주 4.3 사건에 대한 감상 및 조사 > cangoto7 | cangoto.kr report

제주 4.3 사건에 대한 감상 및 조사 > cangoto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cangoto7

제주 4.3 사건에 대한 감상 및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04:49

본문




Download : 제주 43 사건에 대한 감상 및 조사.hwp




이로 인해 일부 제주도의 청년들은 한라산 기슭으로 피신하여 무력대항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미군정은 이에 대해 강경한 탄압으로 대응하였다.
그 뒤 공비 토벌을 이유로 미군정과 군·경 토벌대는 이들 무장대를 적으로 간주하여 제주도 전역에 대한 진압에 나서게 되었다. 이들은 1948년 남한만의 단독政府(정부) 수립을 위한 `5.10 선거`가 실시 되게 되자, 이에 대한 반대 움직임을 보였다. 이로써 4·3은 스타트되었다.33 , 제주 4.3 사건에 대한 감상 및 조사감상서평레포트 ,
제주 4.3 사건에 대한 감상 및 조사
33

Download : 제주 43 사건에 대한 감상 및 조사.hwp( 17 )


레포트/감상서평

설명


,감상서평,레포트








제주%2043%20사건에%20대한%20감상%20및%20조사_hwp_01.gif 제주%2043%20사건에%20대한%20감상%20및%20조사_hwp_02.gif

순서

일제로부터 해방 된 후 일어난 제주 4.3사건에 대해 요인과 경과, 그리고 느낀점에 대해 紹介(소개)하고 있는 글입니다.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제주도내 관공서와 학교, 직장 등 제주도민은 총파업에 돌입하였는데 이를 3·1 대 시위라 한다.


일제로부터 해방이 되자 제주도에도 미군정이 들어서게 되었다. 결국 1948년 4월 3일 새벽 1시를 전후해 소위 인민 자위대라는 좌익 무장대는 제주도내 24개지서 가운데 11개 지서를 일제히 공격하였고, 우익단체에 대한 습격을 단행하였다.

다. 이 과정에서 중산간 대부분의 마을이 초토화되고 수많은 양민이 무고하게 희생되었다. 특히 대한민국 政府(정부)가 수립되고 난 후인 1948년 10월부터 1949년 봄까지 경우 몇 달 사이에 군·경 토벌대의 진압 작전으로 수만 명의 인명이 희생되었으며 130여 개의 마을이 紹介령 등으로 초토화됨으로써 제주공동체는 완전히 파괴되어 버렸다. 그 뒤 혼란의 와중에 1947년 3·1절 기념대회가 있던 날, 제주도민 1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중산간 마을 주민으로 해안 지대에 이주한 표선면 토산리 주민들은 1948년 12월 14일, 국방경비대 9연대에 의해 포박 당한 채 표선 백사장으로 끌려가 157명이 한꺼번에 학살되었다. 총파업 이후 1년 동안 2,500명 가량이 구금되었고, 특히 1948년 3월 경찰에 의한 3건의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 민심을 자극시켰다. 1949년 1월 17일에는 해안 마을인 조천면 북촌마을을 군인들이 포위하고 `공비와 내통했다`며 300여 동의 가옥을 모두 불태우고 주민 1천여명을 초등학교 운동장에 집결…(skip)
일제로부터 해방 된 후 일어난 제주 4.3사건에 대해 원인과 경과, 그리고 느낀점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 글입니다. 이 기간에 벌어진 양민 학살의 事例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다.
전체 12,61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cangot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