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마케팅 성공사례(instanc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6 01:46
본문
Download : 글로벌마케팅 성공사례.hwp
◇롯데리아가 베트남에서 KFC,졸리비의 추격을 따돌리고 시장 점유율은 40% 차지하면서 베트남 패스트푸드 시장의 리딩 브랜드가 되고 있다
베트남은 아직도 패스트푸드분야가 미성숙한 시장인 만큼 발전가능성도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롯데리아,,오리온,,미래에셋,,LG,,글로벌마케팅,,소비자행동,경영경제,레포트
글로벌마케팅 성공사례(instance)
많은 시간 공들여서 만든 작품인 만큼 좋은 평가 받았으면 좋겠구요~~강의를 듣는 모든 학생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많은 이용 부탁 드립니다ㅋㅋㅋㅋ A+++을 향해~!!!! , 글로벌마케팅 성공사례경영경제레포트 , 롯데리아 오리온 미래에셋 LG 글로벌마케팅 소비자행동
많은 시간 공들여서 만든 작품인 만큼 좋은 평가 받았으면 좋겠구요~~
강의를 듣는 모든 학생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많은 이용 부탁 드립니다ㅋㅋㅋㅋ A+++을 향해~!!!!
설명
목차
1. 롯데리아, 베트남 시장 잡았다
2. 오리온, 中사업 호조..내친김에 해외매출 1조
3. 타이어업계, 틈새시장 공략 불황 넘자
4. 未來에셋의 해외진출 성공 instance(사례)
5.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성공 instance(사례)
6. LG, 500억弗 글로벌 빌트인 가전시장 진출(책략적 제휴)
본문내용
1. 롯데리아, 베트남 시장 잡았다
베트남에서 롯데리아의 질주가 멈추지 않고 있다 패스트푸드라는 관념조차 생소했던 지난 1996년 9월 베트남에 첫발을 내딛었던 롯데리아는 진출 10년째인 지난해 전년대비 70% 신장한 순매출 50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척박한 environment(환경) 을 딛고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다
코트라에 따르면 롯데리아는 호치민, 하노이 등 주요 도시의 요지에 30여개의 점포를 운영 중으로, KFC와 필리핀 계열 졸리비의 추격을 따돌리고 시長點유율 40%를 장악했다. 한국인 주재원을 5명을 두고 고객을 상대하는 점포운영은 100% 현지인을 채용하면서 친숙한 이미지를 갖게 했다. 미국과 수교한 국가에 가장 먼저 진출한다는 이야기까지 있을 정도로 해외 진출에 활발한 맥도날드도 아직 베트남에 발을 딛지 못했다. 고객수가 2004년 95만 명, 2005년 180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베트남 시장의 초기에 선점한 efficacy를 충분히 알 수 있다
롯데리아는 베트남에서 철저한 현지화 책략을 구사했다. 햄버거의 point재료인 패티(고기)의 품질 향상 및 관리를 위해 호치민 인근에 120여 억 원을 들여 공장을 설립한 것도 현지인들에게 신선한 고기를 제공하려는 현지화 책략의 일환 중 하나다.
일본롯데리아, 일본Sojitz, 베트남Thien Nhan사, 한국롯데리아가 출자한 합작사로 출발한 베트남 롯데리아는 1998년 1월 렉스호텔에 1호점을 연 이후 일본 롯데리아가 경영을 맡아왔으나 지난 2004월 1월 한국롯데리아가 일본롯데리아 측으로부터 경영권을 인수 받아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을 끈다.
일본롯데리아, 일본Sojitz, 베트남Thien Nhan사, 한국롯데리아가 출자한 합작사로 출발한 베트남 롯데리아는 1998년 1월 렉스호텔에 1호점을 연 이후 일본 롯데리아가 경영을 맡아왔으나 지난 2004월 1월 한국롯데리아가 일본롯데리아 측으로부터 경영권을 인수 받아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을 끈다.
롯데리아는 10년 전 베트남의 성장가능성을 예견하고 브랜드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Download : 글로벌마케팅 성공사례.hwp( 60 )
다.
1. 롯데리아, 베트남 시장 잡았다
베트남에서 롯데리아의 질주가 멈추지 않고 있다 패스트푸드라는 관념조차 생소했던 지난 1996년 9월 베트남에 첫발을 내딛었던 롯데리아는 진출 10년째인 지난해 전년대비 70% 신장한 순매출 50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척박한 environment(환경) 을 딛고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다
코트라에 따르면 롯데리아는 호치민, 하노이 등 주요 도시의 요지에 30여개의 점포를 운영 중으로, KFC와 필리핀 계열 졸리비의 추격을 따돌리고 시長點유율 40%를 장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