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에 반영된 분단현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14:57
본문
Download : 한국영화에 반영된 분단현실.hwp
하지만 나무껍질로 끼니를 연명하는 모습이나, 단돈 몇 푼에 자신의 몸을 내다 파는 어린 소녀들의 모습을 슬퍼하며 분노하는 그를 보고 우리가 눈시울을 붉혔다면 북한의 어려움과 그 빈곤함을 저 먼 나라의 이야기로만 여기지 않고 바로 우리 동포의 일이구나 라고 느꼈다면 거기서도 큰 의미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또한 우리에게 새로운 북한 이미지를 심어준 인물은 바로 극중 이방희로 나오는 김윤진이다. 즉 <쉬리>에서는 북한의 현실을 어느정도 있는 그대로 반영을 한 것이다. 이 영화의 첫 장면에도 나오듯이 그녀는 남자로써도 견디기 힘든 혹독한 훈련을 누구보다도 우수하게 이겨낸다. 피도 눈물도 없는 냉혈한 같은 모습의 킬러에서 한 남자의 사랑을 받게 되고는 그를 위해 모든 걸 내던지는 한 여성의 모습으로 되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다. 굶어 죽어가고 있는 동포들을 위해 당의 명령도 거역하는 인물이 무조건 악의적으로 비춰지지 않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물론 그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잣대는 우리와 크게 다르며 옳다고도 할 수 없다.
Download : 한국영화에 반영된 분단현실.hwp( 60 )
이야기하고자 하는 영화 중에 가장 먼저 만들어진 <쉬리>를 보자.
쉬리의 경우 이전 반공영화에 비해 반공 이데올로기가 약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인민군 훈련 장면이나 여간첩의 자폭장면 등을 통해 반공 영화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상투적인 특징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따 하지만 이 영화에 비친 북한의 이미지는 예전의 것을 답습하는 듯 하면서도 조금은 달랐다. 하지만 이러한 캐릭터의 變化를 줘 북한사람도 우리와 …(생략(省略))
한국영화에 반영된 분단현실
ttttww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한국영화에 반영된 분단현실에 대한 글입니다. 북한을 그저 악의 축으로 보지 않고 그들도 우리와 같이 생각하고 당의 명령이나 사상에 의해서 움직이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 준다. 극중 최민식의 캐릭터는 영화초기에는 당의 명령에 무조건 따르는 하수인으로서 기존 반공영화와 같은 캐릭터처럼 보이지만 영화 후반부에 가서 피를 토하며 헐벗은 동포들의 비참함을 토로하는 장면은 기존 반공영화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최민식이 말한 동포의 현실은 엄연한 북한의 현실이다.ttttww , 한국영화에 반영된 분단현실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영화에 반영된 분단현실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