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용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01:33
본문
Download : 안용복.hwp
이어서 조선조정은 그해 9월에 비변사의 건의에 따라 울릉도가 조선에 속한 사…(省略)
레포트/인문사회
다. `..... 임진왜란 이후 사람들이 들어가본 일이 있으나 역시 왜의 분탕질을 당하여 정착하지 못하였다.(변례집요 울릉도 조). 이에 조선government 는 예조에서 이를 거절하는 회유문을 주어 돌려보냈다. 근자에 들으니 왜노 가 기죽도를 점거했다 하는데, 기죽도라고 혹 말하는 것은 곧 울릉도이다.` 임진왜란 이후 울릉도에는 조선인들만 밀입하거나 출어하는 것이 아니라 日本(일본)인들도 출어하거나 밀입하여 고기를 잡고 나무를 도벌하는 형편이었다.
이무렵 1614년(광해군 6년) 6월에 대마도주는 조선 동래부에 서계(일종의 외교문서)를 보내면서 `도꾸가와 이에야스 ()의 분부로 죽도(울릉도)를 탐견()하려고 하는데 큰 바람을 만날까 두려우니 길 안내를 내어달라`라고 하였다. 이수광의 지봉유설은 그 사정을 잘 말해준다.
16세기말17세기초 임진왜란 때와 그 직후에 조선왕조는 통치력이 극도로 약화되어 울릉도독도를 돌볼 여력이 없었으며, 이 시기 울릉도는 왜구들에게... , 안용복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안용복.hwp( 49 )
,인문사회,레포트
안용복
16세기말17세기초 임진왜란 때와 그 직후에 조선왕조는 통치력이 극도로 약화되어 울릉도독도를 돌볼 여력이 없었으며, 이 시기 울릉도는 왜구들에게...
설명
순서
16세기말17세기초 임진왜란 때와 그 직후에 조선왕조는 통치력이 극도로 약화되어 울릉도독도를 돌볼 여력이 없었으며, 이 시기 울릉도는 왜구들에게 노략질을 당하였다.